한국사 연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26 06:08
본문
Download : 한국사 연표_1110899.hwp
29974_한국사연표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사 연표_1110899.hwp( 43 )
29974_한국사연표 , 한국사 연표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사 연표
중기 신석기文化(culture) 형성. 빗살무늬토기Ⅱ류.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제3˙4˙5기 文化(culture) 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1˙2文化(culture) 층 등 형성. 부산 동삼동유적 4층 두도기 형성.
3000년 웅기 굴포리˙서포항 유적 제6文化(culture) 층, 평양 금탄리유적 제3文化(culture) 층, 회령 오동유적 제1˙2文化(culture) 층 등 형성.
2333년 단군왕검(檀君王儉) 고조선 건국.
2000년 후기 신석기文化(culture) 형성. 빗살무늬토기Ⅲ류. 회령 오동유적 제3˙4文化(culture) 층 등 형성. 만주지역에서 부분적으로 청동기文化(culture) 처음 .
1400년 부산 동삼동유적 5층 영도기 형성.
1300년 부산 금곡동조개더미유적, 김해 수가리조개더미 제3기 유적 등 형성.
1200년 동이(東夷)가 은(殷)의 회하(淮河)˙태산(泰山) 일대 진출.
1122년 은의 기자(箕子)가 조선에 들어옴. 8조금법(八條禁法) 제정.
1000년 민무늬토기인이 한반도 각지에 이주하여 농경文化(culture) 를 이룩. 전기 청동기文化(culture) 형성.
850년 은령 남산근유적 형성.
800년 고조선의 수도를 왕검성에 정함. 이후 송화강(松花江) 유역에 부여(扶餘), 한반도 중남부에 진국(辰國) 성립. 봉산 신흥동주거지유적˙여주 흔암리주거지유적…(투비컨티뉴드 )
순서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