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언어상 ‘삼체’의 국어학적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30 23:42
본문
Download : 통신 언어상 ‘삼체’의 국어학적 특징.hwp
따라서 그의 줄임인 ‘삼’도 종결어미의 이형태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다. [말들의 풍경] <10> 누리망의 어떤 풍경 [한국일보 2006-xxxxxxx-09 20:42]
‘삼체’가 평서…(To be continued )
Download : 통신 언어상 ‘삼체’의 국어학적 특징.hwp( 63 )
통신 언어상 ‘삼체’의 국어학적 특징에 대해 분석한 자료(資料)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삼체특징분석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통신 언어상 ‘삼체’의 국어학적 특징
통신 언어상 ‘삼체’의 국어학적 특징에 대해 분석한 자료입니다.
2.4. ‘삼체’의 보충법적 종결어미 ‘-셈’
‘삼체’와 더불어 종결어미 ‘-셈’(이른바 ‘셈체’)이 있는데 이는 현재시제의 평서문과 명령문에서만 쓰이는 것으로 비격식체의 ‘두루높임’인 ‘-세요’에서 온 듯하다.삼체특징분석 , 통신 언어상 ‘삼체’의 국어학적 특징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2.3. 삼체의 형태소 analysis(분석)
만약 `삼체`가 시간이 지나 일반 언중의 사용과 활용이 높아져서 어미로 받아 들여야 한다면 형태소 analysis(분석) 을 어떻게 할 것인가?하는 가정을 전제로 형태소 analysis(분석) 을 고려해 보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습니다’의 줄임으로 보았기 때문에 먼저 ‘-습니다’의 경우 형태소 analysis(분석) 을 살펴보면 공시적· 통사적 견해와 analysis(분석) 주의ㆍ종합주의적인 견해 등으로 형태소analysis(분석) 에 관해 이견이 많지만, ‘-xxxxx9773;-’를 analysis(분석) 해도 종결어미 ‘-습니다’로 밖에 쓰이지 않고 analysis(분석) 의 의의가 없기 때문에 묶어서 한 형태소로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커피 드셈”이라는 말은 “커피 드십시오”보다는 “커피 드세요” 쪽에 가까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