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너무 몰랐다 김용옥 book report 感想文(감상문)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5 23:41
본문
Download : 108.hwp
우린 너무 몰랐다 김용옥 book report 感想文(감상문) !!
오타가 없습니다.^^
다. 기본적으로 일단 이런 개인적 관점에서 이 책을 읽어나갔다. 자연은 진공을 싫어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은 인간 사회에서는 권력의 공백을 싫어한다는 말로 대치된다된다.
서평감상/서평
설명
순서
개인적인 생각과 느낌을 정리했습니다. 그러나 1392년 변방의 장수 이성계…(생략(省略))
한글 맞춤법을 준수합니다. 참신한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참고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믿습니다. 그런데 승자와 패자가 갈리는 이 싸움에서 대다수의 백성들은 관심 밖이다.^^오타가 없습니다.
저자는 기본적으로 우리 근현대사의 굴곡진 여definition 기원을 조선의 사대주의 정책에서 찾는다.





우린,너무,몰랐다,김용옥,독후감,감상문!!,서평,서평감상
지난 역싸를 돌이켜보면 권력이 안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국가, 새로운 政府, 새로운 정권이 들어서면 지배층 내에서의 권력 투쟁이 거의 필연적이었다.문단 모양(왼쪽 여백 0, 오른쪽 여백 0, 줄간격 160%)글자 모양(바탕글, 장평 100%, 크기 12 pt, 자간 0%) , 우린 너무 몰랐다 김용옥 독후감 감상문!!서평서평감상 , 우린 너무 몰랐다 김용옥 독후감 감상문!!
Download : 108.hwp( 97 )
문단 모양(왼쪽 여백 0, 오른쪽 여백 0, 줄간격 160%)
글자 모양(바탕글, 장평 100%, 크기 12 pt, 자간 0%)
참신한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참고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믿습니다.
개인적인 생각과 느낌을 정리(整理) 했습니다.한글 맞춤법을 준수합니다. 저자는 적어도 고려까지는 황제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china과 대등한 관계를 이어가려 했다고 본다. 권력을 노리는 세력이 적당한 명분으로 일부 백성을 선동해 이용하는 경우는 있어도, 백성이 주체가 되어 이러한 권력 투쟁에 참여한 경우는 적어도 우리 역싸에서는 없었다.
반면, 우리에게 익숙한 홍경래의 난, 진주민란, 동학혁명, 4.19의거, 5.18 광주민주화운동, 87항쟁, 2xxx년 촛불혁명 등은, 중앙권력과는 무관하게 도탄에 빠진 민생과 부패하고 무능한 정권에 대해 저항권으로써의 국민의 자발적 투쟁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