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언어와 구별되는 인간 언어의 property(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2 12:37
본문
Download : 동물의 언어와 구별되는 인간 언어의 특성.hwp
2. 언어의 자의성(恣意性, arbitrariness)
인간 언어의 ‘소리’와 ‘의미’ 사이에는 필연성이 없다. 필요하신 분에게 유용하게 활용이 되시리라 생각되며, 다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 동물의 언어와 구별되는 인간 언어의 특성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다. 인간 언어의 이러한 속성 을 이원성(二元性, duality)이라고 부른다. {木}을 의미하는 음성 기호, 즉 소리가 반드시 [namu]이어야만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지요. 지구 상의 다른 언어에 있어서는 [namu]가 아니라 [tri:]인 경우도 있고, [baum]인 경우도 있고, [ki]인 경우도 있잖아요? 어떤 concept(개념)이 어떤 언어형식(음성)과 관련을 맺는가 하는 것은 해당 언어공동체의 관습과 전통에 따르는 것일 뿐이다. 즉, {木}이라는 concept(개념)에 마주향하여 [namu] 등의 언어형식은 임의의 음성기호일 뿐인 셈이다. 가령, {木}, {水}, {車}라는 concept(개념)을 한국 사람이 말할 때, [namu], [mul], [cha]와 같은 소리로 나타내지요? 말하고자 하는 뜻이 (텔레파시 등과 같이)의미 자체로 곧바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소리’라는 도구를 통해서 전달되는 것이다. 이것을 언어…(skip)
설명
Download : 동물의 언어와 구별되는 인간 언어의 특성.hwp( 78 )
필요하신 분에게 유용하게 활용이 되시리라 생각되며, 다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동물의 언어와 구별되는 인간 언어의 property(특성)
순서
우선, 인간의 언어는 ‘소리’(음성)와 ‘의미’(concept(개념))로 구성되어 있따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음성기호를 통해 실현하는 방식이다. 목차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인간의 언어에는 동물의 언어와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특성이 있고, 이러한 인간 언어의 특성에 대하여 정리했습니다.
,인문사회,레포트




인간의 언어에는 동물의 언어와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property(특성)이 있고, 이러한 인간 언어의 property(특성)에 대하여 요점했습니다. 목차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언어가 ‘소리’와 ‘의미’로 나누어진다고 해서 분리성(分離性)이라고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