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비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4 18:45
본문
Download : 오래된 비밀.hwp
그래서 어떤 이들은 카리스마가 있어야 한다고도 말합니다. 유독 좋은 인복을 버는 사람에게는 다른 점이 있었습니다. 따뜻한 내 마음과 함께 관계마다 적당한 수준을 맞추는 것도 좋은 인복으로 이어지는 지혜입니다. 단, 주의할 것이 있습니다.
Download : 오래된 비밀.hwp( 45 )
오래된,비밀,서평,서평감상
오래된 비밀 , 오래된 비밀서평서평감상 , 오래된 비밀
오래된 비밀
서평감상/서평
순서
설명





오래된 비밀
저자:이서윤
-목차-
머리말
줄거리
book report
-머리말-
무엇이 그 사람의 인복을 좌우하게 될까요 얼핏보면 딱히 애쓰는 것 같지 않은데 주변에 좋은 사람이 많습니다. 열매가 있는 꽃이라고 해서 꼭 금전적인 대가나 보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인복을 번다고 말할 수 있지만, 좋지 않은 인복을 부르기도 합니다. 오늘은 책 <오래된 비밀>에서 얻은 교훈을 통해 유독 좋은 인복을 버는 사람들의 특징. 사람으로 속 섞는 일을 줄이고 좋은 인복만 들어오는 방법에 관해 말씀드릴까 합니…(省略)
1. 선순환 구조가 된다 무엇이 그 사람의 인복을 좌우하게 될까요 책 <오래된 비밀>은 우선 열매가 있는 꽃을 제대로 보는 안목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이런 모습에 `이런 사람이 인복이 많을 수밖에`라고 생각합니다. 정신적이건 물질적이건 자기에게 은혜를 베푸는 사람에게는 더 잘해주려는 마음을 먹기 마련입니다. 과연 그럴까요 어떤 사람을 보면 사람들에게 잘하고 정성스럽게 애써 챙기는 사람이 있습니다. 사람에 시달림을 줄이고 좋은 인복만 생기려면 사람을 볼 줄 알고, 아닌 사람은 가릴 줄 아는 것이 상당히 큰 힘이 됩니다. 그렇다면 걸려야 할 사람을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요 책의 조언이 참고해볼 만합니다. 그다음에는 양지바른 곳에서 제때 충분한 물을 주며 소중하게 보살피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또한, 믿음이 없다고 판명된 사람을 가까이 두는 어리석음을 반복하는 것도 안 된다고 책은 말합니다. 아시다시피 친절한 행동을 약한 걸로 보고 쉽게 대하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요. 착하게 행동한다고 주변에 좋은 사람만 모이는 것은 아닙니다. 받을 것을 기대하지 않는 사람도 이런 사람에게 베풀고 나면 씁쓸해집니다. 한마디 말을 해도 싹싹하게 하고, 정성을 다하는 모습을 보면 사람을 끄는 힘이 있습니다. 말과 행동을 보면 싹싹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이런 사람과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미움과 배신의 싹을 틔우는 빌미가 되기 때문입
오래된 비밀
다. 책은 인간은 캐치볼 게임처럼 서로 무언가를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존재라고 말합니다. 서로가 부담 없이 즐거워할 수준에서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바로 이런 나와 상대의 주고받음의 순환이 이어지는 것. 이런 `선순환 구조`야말로 인복이 있는 사람들이 보여주는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전합니다. 상대는 그에 응답하여 더 많은 것을 주려고 합니다. `이러니 인복이 많을 수밖에` 라고 생각합니다. 왜 그럴까요 그런데 어떤 사람은 좋은 인복만 골라 생기는 사람이 있습니다. 베푸는 사람이라면 두말할 것도 없고요. 그런데 과연 그럴까요 주변에 이렇게 행동하는 사람이 있으실 겁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주고받는 에너지 즉, 정신적인 무형의 에너지가 인간관계에서 좋은 인복을 부른다고 說明(설명) 합니다. 나만 잘하고, 모든 사람에게 착하게 대한다고 저절로 인복이 좋아지는 것이 절대 아니었음을 살면서 깨닫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당연히 인복이 좋을 거라고 생각했던 사람이 사람으로 속이 썩고, 바람 잘 날 없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상대가 부담스럽지 않게 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공허한 느낌을 주는 사람이란 고마워할 줄 모르는 사람, 이용하려 드는 사람, 관계에서 더 좋아하는 사람을 약자로 대하는 사람 등이 있습니다. 한마디로 인복을 버는 사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대가 부담스러워하면 관계가 멀어지기 쉽습니다. 이런 경우 대개 서로의 시간과 에너지를 갉아먹는 나쁜 인연으로 귀결되기 쉽다고 말합니다. 책은 `공허한 느낌을 주는 사람`과의 관계를 요약하라고 조언합니다. 나만 잘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도 잘 만나야 인복을 벌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