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키기반구조] PKI를 이용한 DNS보안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09 11:42
본문
Download : 정보통신망E형.hwp
역할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 계층 마다 다른 명칭을 가지고 있따
다.






1.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 공개키기반구조) 개요, 2. DNS를 이용한 상호 연동 및 인증서 검증 방안, 3. DNS를 이용한 인증서 검증방식의 활용방안 , 4. PKI를 이용한 DNS 보안, 5. 현재의 이슈 및 관련 동향, , FileSize : 48K , [공개키기반구조] PKI를 이용한 DNS보안에 대하여기타레포트 , 공개키기반구조 DNS를이용한인증서검증방식의활용방안 상호연동및인증서검증방안
공개키기반구조,DNS를이용한인증서검증방식의활용방안,상호연동및인증서검증방안,기타,레포트
1.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 공개키기반구조) 개요, 2. DNS를 이용한 상호 연동 및 인증서 검증 대안, 3. DNS를 이용한 인증서 검증방식의 활용대안 , 4. PKI를 이용한 DNS 보안, 5. 현재의 이슈 및 관련 동향, , reference(자료)크기 : 48K
순서
Download : 정보통신망E형.hwp( 35 )
[공개키기반구조] PKI를 이용한 DNS보안에 대하여
레포트/기타
설명
1.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 공개키기반구조) 개요 공개키 알고리즘을 통한 암호화 및 전자서명을 제공하는 복합적인 보안시스템 environment이다. )PKI시스템 구성요소 PKI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로는 인증서를 발행하고 취소하는 인증기관, 인증서 등록 및 사용자 신원확인을 대행하는 등록기관, 인증서 및 인증서 취소 목록을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디렉토리, 그리고 인증서를 신청하고 인증서를 사용하는 사용자로 분류될 수 있따 가. 인증기관 인증기관(CA; Certification Authority)이란 PKI의 point 객체로서 인증서 등록발급조회시 인증서의 정당성에 대한 관리를 총괄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즉, 암호화와 복호화키로 구성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송수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디지털인증서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시스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