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sing ] 외상성 장애에 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3 13:35
본문
Download : [간호학] 외상성 장애에 관해서.ppt
설명
처방에 따라 N/S 1000ml를 연결해 angio 18G로 정맥로 확보
개방 골절인지 폐쇄골절인지 빠르게 확인한다.[Nursing ] 외상성 장애에 관해서
1차사정 응급환자의 신체검진의 첫 단계로서 10~15초 이상 걸려서는 안 된다.
4. 뇌 손상
X-ray 촬영 결과에 따라 골절이 심한 경우 응급수술 준비를 한다.
머리의 둔상이나 목의 외상, 목 부위의 총상, 쇠골 윗부분의 손상시 경추골절 위험이 높다. ① 의식 확인 ② 기도유지 확인 ③ 호흡 확인 ④ 순환 확인 : 맥박확인 ⑤ 대량출혈 확인 ⑥ 흉곽손상 확인
레포트 > 의학계열
(1) 뇌진탕
증상 : 오심, 구토, 두통, 건망증, 부분적 시력상실과 의식상실
응급환자의 신체검진의 첫 단계로서 10~15초 이상 걸려서는 안 된다
1차사정
기도문제와 경추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확진이 내려질 대까지 경추 손상 환자로 취급하고 기도를 유지해 준다. 이런 환자들은 cervical collar를 대주거나 환자를 단단한 등판에 눕히고 목의 양 옆에 수건을 말아서 목을 지지해 주어야 한다.
외상 확인
두부손상일 경우 의식을 잃었는지, 두피가 찢겼는지 확인
![[간호학] 외상성 장애에 관해서-1138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5B%EA%B0%84%ED%98%B8%ED%95%99%5D%20%EC%99%B8%EC%83%81%EC%84%B1%20%EC%9E%A5%EC%95%A0%EC%97%90%20%EA%B4%80%ED%95%B4%EC%84%9C-1138_01.jpg)
![[간호학] 외상성 장애에 관해서-1138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5B%EA%B0%84%ED%98%B8%ED%95%99%5D%20%EC%99%B8%EC%83%81%EC%84%B1%20%EC%9E%A5%EC%95%A0%EC%97%90%20%EA%B4%80%ED%95%B4%EC%84%9C-1138_02_.jpg)
![[간호학] 외상성 장애에 관해서-1138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5B%EA%B0%84%ED%98%B8%ED%95%99%5D%20%EC%99%B8%EC%83%81%EC%84%B1%20%EC%9E%A5%EC%95%A0%EC%97%90%20%EA%B4%80%ED%95%B4%EC%84%9C-1138_03_.jpg)
![[간호학] 외상성 장애에 관해서-1138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5B%EA%B0%84%ED%98%B8%ED%95%99%5D%20%EC%99%B8%EC%83%81%EC%84%B1%20%EC%9E%A5%EC%95%A0%EC%97%90%20%EA%B4%80%ED%95%B4%EC%84%9C-1138_04_.jpg)
![[간호학] 외상성 장애에 관해서-1138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5B%EA%B0%84%ED%98%B8%ED%95%99%5D%20%EC%99%B8%EC%83%81%EC%84%B1%20%EC%9E%A5%EC%95%A0%EC%97%90%20%EA%B4%80%ED%95%B4%EC%84%9C-1138_05_.jpg)
① 의식 확인
③ 호흡 확인
처방에 따라 필요한 응급혈액검사 시행
② 기도유지 확인
(2) 기타 신체고정
다.
(1) 경추 손상
간호학,외상성 장애
처방에 따라 Chest PA, Skull Series 촬영 및 의식을 잃었을 경우 Brain CT촬영을 의뢰
통증이 심할 경우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며, 간단하게 찢긴 경우 봉합을 의뢰
Brain CT 결과로부터 Hemorrhage, Skull 두개골 골절의 유무를 확인
Download : [간호학] 외상성 장애에 관해서.ppt( 93 )
폐쇄된 상처일 경우 X-ray 촬영 전에 일차적으로 wire splint로 골절부위를 고정한다.
⑥ 흉곽손상 확인
⑤ 대량출혈 확인
의식상태와 활력징후 및 동공반사를 확인
순서
④ 순환 확인 : 맥박확인
개방골절인 경우는 상처 세척 후 압박드레싱을 하여 지혈을 한 후, 고정한다.
주요 외상에 대해 신속히 사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