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과학으로서 사회과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9 18:53
본문
Download : 조사론3강.hwp
과학으로서 사회과학,사회복지조사론
사회과학
- 경험과학, history과학, 실천과학, 인식과학
명확한 conclusion(결론)을 내리기 어렵다
사고의 가능성 제한
누적적인 성격을 가진 학문
2) 과학으로서 사회과학
순서
새로운 theory 이라도 기존의 theory 과 단절되지 않은 성격
독창적이고 유일한 성격의 학문
1) 사회과학의 의의
- 사회현상은 사회적 법칙에 의해 결정될 뿐 아니라 인간의 의지적 행동의 산물이다.
사고의 도식화에 관한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강의 집
3. 사회과학으로서의 사회복지에 대해 이해한다.
Download : 조사론3강.hwp( 28 )
[사회복지조사론] 과학으로서 사회과학
(1) 19세기 사회학자 딜씨(W. Dilthy)
연구자의 개성이나 사회적 지위에 influence을 받지 않음
다. 2. 과학의 한 분야로서 사회과학의 한계를 이해한다.
- 독특한 사건의 연구만으로 설명(說明)이나 예측이 허용되지 않음
(3) 베버 (M. Weber)
分析기법은 겉치레이며 중요성이 없다.
도식화 강조
수학적 공식과 같은 分析방법에 의해 사고의
(2)뒤르껭 (E. Durkheim)
- 인간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어 누구도 그들의 행동을 예측하거나 일반화할 수 없다
- 사회현상은 질서 있게 일반화 될 수 있다는 실증주의적 견해
2. 과학의 한 분야로서 사회과학의 한계를 이해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학습goal(목표)
사회文化(문화)적 특성(特性)의 influence을 받지 않음





사회文化(문화)적 특성(特性)에 influence을 받음
- Dilthy와 Durkheim의 중간적 접근방법
사고의 가능성 무한정
연구자의 가치관이나 세계관에 influence을 받음
- 사회현상도 자연현상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동일한 법칙을 찾아낼 수 있는가에 학자마다 상이한 견해를 가진다.
3) 사회과학 방법론과 자연과학 방법론의 차이
- 사회과학이란 인간의 모든 행위를 나타내는 사회적 행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회현상이나 인간 행위를 分析하고 종합하여 일반적 법칙을 찾아내려는 인간의 지식적 활동이다.
강의 자료집 * 학습목표 1. 사회과학의 의의와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차이를 이해한다. 3. 사회과학으로서의 사회복지에 대해 이해한다.
- 물리적 현상이 물리적 법칙을 따르듯 사회현상도 사회적 법칙을 따른다.
기존 theory 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theory 의 대두가 빈번
6. 과학으로서 사회과학
명확한 conclusion(결론)을 내릴 수 있다아
자연과학
설명
1. 사회과학의 의의와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차이를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