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h TV 시청률 `케이블로 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8 08:06
본문
Download : 080318112855_.jpg
박 연구원은 靑少年(청소년) 은 ‘캐릭터’와 ‘스타’ 출연 여부 및 선호도를 중심으로 program을 선택하는 성향이 강한 만큼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나 스타를 ‘따라다니며 보는데’ 보다 용이한 케이블TV에 대해 소구점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youth TV 시청률 `케이블로 이동`
중학생 매체별 시청량 (단위:시간)
이는 지상파 TV의 소구력이 갈수록 감소하는 반면 케이블TV 소구력이 점점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케이블TV 0.20 0.25 0.31 0.38 0.43





청소년 TV 시청률 `케이블로 이동`
설명
구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youth TV 시청률 `케이블로 이동`
김원배기자@전자신문, adolfkim@
이같은 배경으로 박 연구원은 케이블TV 채널 수의 증가로 선택 폭이 넓어지고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지상파TV 1.33 1.21 1.11 1.15 1.03
Download : 080318112855_.jpg( 71 )
박웅진 KBI 연구원은 “2002년 대비 2006년 지상파 TV와 케이블TV 시청량 격차가 중학생은 49분(74분→25분)감소했고 고등학생은 48분(73분→25분)이 줄었다”며 “靑少年(청소년) 시청집단 특유의 ‘선택적 시청 성향’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말했다.
靑少年(청소년) 의 지상파 TV 시청량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케이블TV 시청량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등학생 매체별 시청량(단위 :시간)
케이블TV 0.20 0.25 0.38 0.46 0.38
구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다.
청소년 TV 시청률 `케이블로 이동`
순서
지상파TV 1.34 1.28 1.28 1.20 1.08
레포트 > 기타
박 연구원은 “지상파 TV 콘텐츠는 큰 변동이 없는 가운데 케이블TV는 靑少年(청소년) 을 타깃으로 한 킬러 콘텐츠를 풍부하게 확보, goal(목표) 시청자 유인에 성공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KBI·원장 권영후)이 발간한 ‘靑少年(청소년) TV 시청행태 및 이용자 特性 analysis(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2년 약 5배에 달했던 지상파 TV와 케이블TV간 시청량 격차가 불과 4년 만에 2배도 안되는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