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대학생의 은어사용 reality(실태) 와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4 16:06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대학생의 은어사용 실태와 문제.hwp
그렇지만, 과연 어른들도 이 대화의 깊은 뜻을 이해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이 대화에 등장한 은어의 뜻을 하나하나씩 풀어보자.
1) 교심 : ‘교육심리’의 줄임말.
2) 빡세다 : 매우 빡빡하고 힘들다는 뜻.
3) 짱나다 : 짜증나다. 물론, 음절이 긴 문자나 단어는 말의 줄임을 통해 간단히 하는 것이 effect적으로 어휘의 발음면에서도 효율성을 갖게 되지만, 교육심리나 학생회관처럼, 고작 4음절에 불과한 단어도 두 글자로 줄여버리는 것이 과연 어휘의 effect성…(To be continued )
순서
[사회과학]대학생의 은어사용 reality(실태) 와 문제
Download : [사회과학]대학생의 은어사용 실태와 문제.hwp( 38 )
[사회과학]대학생의 은어사용 reality(실태) 와 문제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대학생,은어사용,와,문제,인문사회,레포트
![[사회과학]대학생의%20은어사용%20실태와%20문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B%8C%80%ED%95%99%EC%83%9D%EC%9D%98%20%EC%9D%80%EC%96%B4%EC%82%AC%EC%9A%A9%20%EC%8B%A4%ED%83%9C%EC%99%80%20%EB%AC%B8%EC%A0%9C_hwp_01.gif)
![[사회과학]대학생의%20은어사용%20실태와%20문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B%8C%80%ED%95%99%EC%83%9D%EC%9D%98%20%EC%9D%80%EC%96%B4%EC%82%AC%EC%9A%A9%20%EC%8B%A4%ED%83%9C%EC%99%80%20%EB%AC%B8%EC%A0%9C_hwp_02.gif)
![[사회과학]대학생의%20은어사용%20실태와%20문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B%8C%80%ED%95%99%EC%83%9D%EC%9D%98%20%EC%9D%80%EC%96%B4%EC%82%AC%EC%9A%A9%20%EC%8B%A4%ED%83%9C%EC%99%80%20%EB%AC%B8%EC%A0%9C_hwp_03.gif)
![[사회과학]대학생의%20은어사용%20실태와%20문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B%8C%80%ED%95%99%EC%83%9D%EC%9D%98%20%EC%9D%80%EC%96%B4%EC%82%AC%EC%9A%A9%20%EC%8B%A4%ED%83%9C%EC%99%80%20%EB%AC%B8%EC%A0%9C_hwp_04.gif)
![[사회과학]대학생의%20은어사용%20실태와%20문제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B%8C%80%ED%95%99%EC%83%9D%EC%9D%98%20%EC%9D%80%EC%96%B4%EC%82%AC%EC%9A%A9%20%EC%8B%A4%ED%83%9C%EC%99%80%20%EB%AC%B8%EC%A0%9C_hwp_05.gif)
[사회과학]대학생의 은어사용 실태와 문제 , [사회과학]대학생의 은어사용 실태와 문제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대학생 은어사용 와 문제
설명
다. 보통 버스카드를 충전할 일이 많은 중 · 고등학생들에 의해 자주 사용된다
11) 학식 : ‘학생식당’의 줄임말
위에서 볼 수 있는 것 처럼 오늘날 대학생들의 은어는 대부분 줄임말이다.
9) 학관 : ‘학생회관’의 줄임말.
10) 뻐카충 : ‘버스카드충전’의 줄임말으로, ‘버’가 아닌 ‘뻐’는 발음의 편의에 의한 것이다. 내 또래의 학생들은 대부분 이 대화의 뜻을 이해하며 피식 웃음을 지을지도 모른다.
5) 자체휴강 : 휴강이 교수님에 의해 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자체휴강은 학생이 고의적으로 수업을 빠져 강의를 쉬는 것을 의미함.
6) 문상 : ‘문화상품권’의 줄임말.
7) 겁나 : 매우, 정말, 아주. 뒤의 ‘빡치다’의 정도를 수식.
8) 짱나다 : 짜증나다.
대학생들 사이의 ‘은어’, 그들만의 은밀한 소통
“야, 너 다음시간 강의 뭐야”
“ 다음시간, 아마 1)교심일 걸 아 그 수업 2)빡센데 듣기 3)짱나”
“ 아, 수업 4)째고 5)자체휴강할까. 참, 학교 신문 퀴즈에 응모해서 당첨되면 뭐 준대”
“ 뭐 줘봤자 6)문상정도겠지. 7)겁나 8)빡치네.”
“ 수업 가기 전에 9)학관가서 10)뻐카충좀 하자”
“ 그래, 그럼 너가 11)학식 쏴”
오늘 아침, 수업을 가기 위해 길을 나서다 들은 두 학생의 대화이다. 내 또래의 학생들은 대부분 이 대화의 뜻을 이해하며 피식 웃음을 지을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과연 어른들도 이 대화의 깊은 뜻을 이해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이 대화에 등장한 은어의 뜻을 하나하나씩 풀어보자.
1) 교심 : ‘교육심리’의 줄임말.
2) 빡세다 : 매우 빡빡하고 힘들다는 뜻.
3) 짱나다 : 짜증나다.
5) 자체휴강 : 휴강이 교수님...
대학생들 사이의 ‘은어’, 그들만의 은밀한 소통?
“야, 너 다음시간 강의 뭐야?”
“ 다음시간, 아마 1)교심일 걸? 아 그 수업 2)빡센데 듣기 3)짱나”
“ 아, 수업 4)째고 5)자체휴강할까. 참, 학교 신문 퀴즈에 응모해서 당첨되면 뭐 준대?”
“ 뭐 줘봤자 6)문상정도겠지. 7)겁나 8)빡치네.”
“ 수업 가기 전에 9)학관가서 10)뻐카충좀 하자”
“ 그래, 그럼 너가 11)학식 쏴”
오늘 아침, 수업을 가기 위해 길을 나서다 들은 두 학생의 대화이다.
4) 째다 : 빠지다.
4) 째다 : 빠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