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의 미의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2 12:15
본문
Download : 한국문학의 미의식.hwp
조동일은 연역적인 방법으로 미의식을 재구성하고, 다시 귀납적인 방법으로 미의식의 전개를 검토하였다. 민담과 거기서 변형된 소설들은 삶을 긍정하는 우아를 바탕으로 삼는다. 우아에 있어서 있는 것과 있어야 할 것은 서로 필요로 하는 조화의 관계를 이루면서 있는 것으로 있어야 할 것을 수정한다. <한림별곡> <상춘곡> <어부사시사> 등의 작품에도 우아미가 주로 나타나 있다 <아기장수 전설>과 호동·도미·박제상의 전설은 비범한 인물의 불행한 죽음을 형상화하였다. 문학작품은 있는 것과 있어야 할 것의 관계틀 형상화하고 있다는 가정이다. 있는 것과 있어야할 것이 서로 매개하는 방식을 조동일은 필요·거부·수정·부정이 네 concept(개념)으로 정식화하였다(10). 숭고에 있어서 있는 것과 있어야 할 것은 서로 필요로 하는 조화의 관계를 이루면서 있어야 할 것으로 있는 것을 수정한다. <임진록>의 ,김덕령 …(To be continued )
한국문학의 미의식에 대한 글입니다. 골계에 있어서 있는 것과 있어야 할 것은 서로 거부하는 갈등의 관계를 이루면서 있는 것으로 있어야 할 것을 부정한다. <찬기파랑가> <제망매가> <유충렬전> <조웅전> <장국진전> <숙향전> <구운몽> 등도 이상적 가치의 추구를 표현하였다. 비장에 있어서 있는 것과 있어야 할 것은 서로 거부하는 갈등의 관계를 이루면서 있어야 할 것으로 있는 것을 부정한다. 숭고한 작품들은 이상적 가치에 중요상을 부여하고 생활현실을 깊이 고려하지 않는다. 미적 범주들의 상호작용을 체제화하기 위하여 조동일은 다소 생소한 concept(개념)을 도입하였다.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문학의 미의식.hwp( 70 )
설명
한국문학의 미의식에 대한 글입니다.한국문학의미의식 , 한국문학의 미의식인문사회레포트 ,
한국문학의 미의식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한국문학의미의식
다. <서동요>와 <헌화가>는 남녀의 사랑과 여자의 아름다움이라는 현실적 가치를 추구하고, 고려가요의 우아미는 비속과 비탄과 회한까지도 포괄하고 있다 <모내기 노래>와 같은 노동요에는 노동의 즐거옴과 사랑의 즐거움이 융화되어 있으며, 전문적 소리패의 노래인 잡가와 장시조에 오면 일상생활의 사소한 모습까지 여실히 묘사되어 현실의 중요성이 두드러지게 부각된다된다.
미의식의 history(역사) 적 전개가 조동일에 의해서 시도되었다(11). 신화·서사무가·불교설화는 숭고미를 형상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