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싶다’ 구문의 의미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11 11:20
본문
Download : ‘보다’, ‘싶다’ 구문의 의미 연구.hwp
(15) ㄱ. 이제 죽었구나 싶더군요.
ㄴ. 참 노을이 아름답구나 싶군요.
ㄷ. 그도 변호사구나 싶더군요.
이주행(1990)에서는 ‘-구나’에 대상으로하여 화자가 어떤 사태를 인지하고, 그것에 대한 놀람을 뜻하는 어미라 하였고, 장경희(1984)에서는 [처음 앎]을 ‘-구나’의 核心(핵심)의미로 정하였다. 이 구문은 인칭에 제한없이 쓰이며 ‘싶다’가 결합되어 주관적 판단을 나타낸다. 결국 ‘-지’는 단언의 의미를 띠는 ‘-다’보다는 화자가 어떤 사람이나 사물의 행위, 상태에 대한 인식론적 확신은 적으나 그래도 그에 가까운 믿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확신의 믿음도 ‘싶다’와 결합되면서 [주관적 판단]에 의해 그 정도성을 약화시킨다.
이와 같이 ‘싶다’는 명제 내용을 [주관적 판단]에 의해 단정적 진술이나 확신의 믿음을 완화시키고 있다 더욱이 위와 같은 구문에서 ‘싶다’의…(투비컨티뉴드 )
③ ‘-ㄴ가/-나/-ㄹ까 싶다’
‘-지’에 대해서 장경희(1984)에서는 [이미 앎]이라 하였고, 이기동(1987)애서는 종결어미 ‘-지’는 화자가 어떤 명제를 믿는 쪽으로 기... , ‘보다’, ‘싶다’ 구문의 의미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보다’, ‘싶다’ 구문의 의미 연구.hwp( 20 )
레포트/인문사회






다.
‘보다’, ‘싶다’ 구문의 의미 연구
‘-지’에 관련되어 장경희(1984)에서는 [이미 앎]이라 하였고, 이기동(1987)애서는 종결어미 ‘-지’는 화자가 어떤 명제를 믿는 쪽으로 기...
설명
순서
‘-지’에 대상으로하여 장경희(1984)에서는 [이미 앎]이라 하였고, 이기동(1987)애서는 종결어미 ‘-지’는 화자가 어떤 명제를 믿는 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또 화자가 청자도 마찬가지로 믿는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믿는데 쓰인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