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구조물의 균열 및 보강 事例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06 20:27
본문
Download : 지하철 구조물의 균열 및 보강 사례.hwp
설명
순서
토322 , 지하철 구조물의 균열 및 보강 사례공학기술레포트 ,
지하철 구조물의 균열 및 보강 事例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지하철 구조물의 균열 및 보강 사례.hwp( 44 )
,공학기술,레포트






토322
안전도 평가
이상의 구조검토, 현장상태등을 종합검토하면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설계기준 이상으로 적정
- 철근배근 상태는 배근도, 재료표의 길이가 상이하고
(배근도상 철근길이 6.9m C.T.C 12.5cm
재료표상 철근길이 6.0m C.T.C 10.0cm
실제시공 철근길이 6.0m C.T.C 10.0cm)
인장철근의 배치가 기둥쪽으로 편기되는 등 철근배근 상태가 불량하였으며
- 구조해석 및 단면검토결과
균열이외의 구간은 소요안전도가 확보되어 있으며
균열구간은 인장철근의 절단으로 휨모멘트에 대한 안전도가 부족하여 균열구간에 대한 구조적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5. 보수보강방안(方案)
휨모멘트 부족구간에 대한 보수보강방안(方案)으로는
(1)안 : 균열이 발생한 전 구간을 전면철거 후 재시공하는 안과
(2)안 : 구조물을 보강하여 사용하는 방안(方案)을 집중 검토하였으나
(2)안 구조물을 보강하여 사용하는 방안(方案)이 추천되어 보수ㆍ보강하였다.<보수보강방안(方案)>
가. 기둥설치 가능구간
휨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기둥설치가 가능한 구간…(To be continued )나. 기둥설치 불가능구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