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15 11:47
본문
Download :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hwp
이것은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인 한글과 한자를 컴퓨터에 제대로 입력하고 출력하려는 시도 그 자체 였다. 기존의 컴퓨터 하드웨어 업체에서는 자사의 한글코드만으로 충분하다고 간주하고 있어서 정부로서는 새로운 기술체계의 선택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1974년 9월, 과학기술처가 한국과학기술연구소를 통해 작성한 정부표준 한글코드는 자소(초, 중, 종성의 단위)의 값을 7비트로 규정하는 7비트 N바이트 방식으로서 글자…(省略)
,인문사회,레포트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에 대한 글입니다.up한국컴퓨터과학기술의혁신과정보기술산업정책 ,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인문사회레포트 ,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
설명
순서
Download :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hwp( 37 )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에 대한 글입니다. 특히 한글코드의 통일은 기본적으로 컴퓨터 키보드에서 한글을 입력해서 모니터나 프린터에 그대로 출력되어 나오도록 하는 컴퓨터 부호처리 체계를 국가 차원에서 표준화해야 한다는 뜻이었다. 그 의무사항 가운데 하나가 수 십여 종이 난립해 있던 한글코드나 키보드 자판 배열의 통일 등 컴퓨터 분야의 표준화문제였다. 그러나 80년대는 컴퓨터 보급이 급속하게 확대되면서 정부와 기업계는 앞뒤뿐만 아니라 좌우도 함께 살펴야 할 여러 가지 정황이 가시권에 들어오기 처음 했고 그럴 의무를 절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한글코드 표준화 작업의 사회과정
70년대는 하드웨어 보급과 도입, 정부의 주도에 의해 앞만 보고 달린 꼴이었다.






레포트/인문사회
up한국컴퓨터과학기술의혁신과정보기술산업정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