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색채와 未來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14 09:34
본문
Download : 한국의 색채와 미래.hwp
이때의 화공들은 외광(外光)을 받는 기둥에는 붉은 색을 칠하여 힘과 능력을 강조하고, 추녀나 처마부분에는 녹청색으로 처리하여 그늘진 곳의 명도를 높여서 전체조화를 이룩하였다.색채리포트 , 한국의 색채와 미래공학기술레포트 ,






한국의 전통색채의식과 오방색 등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 색채의 未來에 대해 展望한 reference(자료)입니다. 즉 위는 푸르고, 밑은 붉게 소위 상록하단(上錄下丹)의 원칙을 지킨 것 같다.
조선대에 와서는 건물의 내외단청이 다른 색조로 변했다.
Download : 한국의 색채와 미래.hwp( 39 )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고려대에는 단청화공들이 색조의 구사법이 완숙되어 미적 조화를 얻는데 성공하였다. 따라서 이 시대의 단청은 실내외 다같이 선명 화려하게 하였다.
조선시대에 쓰이던 단청색도 전대를 이어받았으되 보다 화려한 색이 즐겨 쓰이었다.
또 동일부재라도 광선을 많이 받는 옆면에는 각종 색을 넣어서 미려하게 장식하고 그늘진 밑면에는 명도가 높은 붉은 미색을 써서 공간미와 율동미를 더하였다.
외부단청은 밝고 감도가 높은 등황색조를 증가시켰으며 실내는 비교적 온화하고 차분한 녹청색으로 처리하여 장식의 명도를 높였다. 양청에…(투비컨티뉴드 )
설명
한국의 색채와 未來
한국의 전통색채의식과 오방색 등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 색채의 미래에 대해 전망한 자료입니다. 이때 쓰인 주요색조는 장단(長丹) · 주홍(朱紅) · 황 · 양록 · 양청 · 석간주 등이다 .
이 기본색에 분 또는 먹을 혼합하여 색의 명도를 조절하고 또 다른 색을 혼합하여 간색을 만들어 썼다.
색채리포트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