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유급휴가의 성립요건 및 휴가일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26 03:54
본문
Download : 연차유급휴가의 성립요건 및 휴가일수.hwp
(행정해석)]
2) 계속근로
계속근로란 근로관계의 존속기간을 말하는 것으로, 임시직/별정직 등 근무형태를 불문하고 계속근로한 기간을 합산하여 계산한다.또한 기업의 합병, 영업양도, 전출, 전적의 경우에도 원칙적으로 근로관계가 승계되므로 계속근로가 인정된다
2. 8할 이상 출근할 것
1) 서
연차유급휴가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1년간 8할 이상을 출근하여야 한다. 이때 출근률 산정이 기준은 1년간의 총일수가 아니라 근로자가…(drop)2) 소정근로일수의 의미
3) 출근일의 의미
4) 지각/조퇴의 경우
3. 계속근로기간 1년미만인 근로자의 연차휴가
설명
연차유급휴가의 성립요건 및 휴가일수
레포트/법학행정
다.


순서
연차유급휴,성립요건,휴가일수,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연차유급휴가의 성립요건 및 휴가일수.hwp( 12 )
연차유급휴가의 성립요건 및 휴가일수 , 연차유급휴가의 성립요건 및 휴가일수법학행정레포트 , 연차유급휴 성립요건 휴가일수
연차유급휴가의 성립요건 및 휴가일수
연차유급휴가의 성립요건 및 휴가일수
Ⅰ. 성립요건
1. 1년간 계속 근로할 것1) 기산일
계속근로1년의 기산일은 원칙적으로 채용한 날이지만, 업무의 편의상 전근로자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기산일을 정하는 것도 무방하다(행정해석).[단, 불이익을 입는 근로자가 없도록 1년 미만인 경우 근로일수에 비례한 휴가를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