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이해C]언어학의 종류와 연구 분야를 설명(explanation)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5 06:23
본문
Download : 언어학의 종류와 연구 분야를 설명하시.hwp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중 략 >>
전정예, 언어학 특강, 경진文化(culture) 사, 2010
3. 음성학(phonetics)
2) 통시언어학
통시언어학(diachronic linguistics)은 언어를 통시적으로 observe, 연구하여 그 變化(변화)를 연구하는 분야이며, 한 시기와 다음 시기의 앞뒤로 이어지는 말들의 變化(변화)된 모습을 연구하는 것이다. 인문학의 여러 분야들과 언어학의 관계, 그리고 언어의 컴퓨팅 처리와 언어 교육 등이 응용언어학(applied linguistics)의 여러 문제들인 것이다. [참고자료] 전정예, 언어학 특강, 경진문화사, 2010 페르디낭 드 소쉬르, 최승언 역,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로버트 로빈스, 강범모 역, 언어학의 역사, 한국문화사, 2007 김방한,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1995 요하네스 페르, 최용호 역, 소쉬르 언어학과 기호학 사이, 인간사랑, 2002 George Yule, 노진서 역, 언어학 강의, 케임브리지, 2009
11. 언어학사, 메타언어학(언어인류학)
[언어의이해C]언어학의 종류와 연구 분야를 설명(explanation)하시오
13. 전통언어학의 분야 - 어휘론, 문법론, 어원론, 방언학
4. 형태론(Morphology)
1) 공시언어학
언어의이해C,언어의이해,언어이해,언어학의종류,언어학,언어학종류,언어학의이해,언어학분야
9. 통계언어학(계량언어학)





3. 대조언어학
5. 형식언어학
8. 전산언어학
17. 언어학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분야
1. 거시적 구분 - 공시언어학(synchronic linguistics), 통시언어학(diachronic linguistics)
15. 응용 분야
순서
언어학의 연구 분야를 나누는 가장 큰 구분 중의 하나가 어떠한 한 순간의 언어 상태를 연구하는 공시언어학과 시간이 수반되는 언어의 變化(변화)를 연구하는 통시언어학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 편집이 용이하도록 철저히 배려하여 작성했습니다. 즉 언어학적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이 여러 학문과 관련이 되어 진다.
10. 말뭉치언어학(코퍼스언어학)
언어학의 종류와 연구 분야를 설명하시오.(30점) ■ 편집이 용이하도록 철저히 배려하여 작성했습니다. 먼저, 언어의 의미 문제로서 논리학, 철학, 심리학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언어가 하나의 사회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사회학과도 관련이 되어진다.
4. 언어유형학(유형론)
페르디낭 드 소쉬르, 최승언 역,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Download : 언어학의 종류와 연구 분야를 설명하시.hwp( 56 )
Ⅱ. 언어학의 종류
김방한,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1995
언어학의 종류와 연구 분야를 설명(explanation)하시오.(30점)
[참고 資料]
16. 인접 분야와 학제 간 연구
2. 기술언어학
공시언어학(synchronic linguistics)은 시간을 고정시켜 놓고서 해당 구간 내에서 언어를 observe하면서 그 체계와 질서에 대하여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부문이다. 현대의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의 컴퓨팅 처리들이 중요하고, 정보의 형식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언어 정보이므로 언어는 컴퓨터 혹은 정보처리와도 직접 밀접한 관련이 되어 진다. 예를 들면, 경상도 지역어의 모음 체계에 관하여 연구를 한다든지, 현대 국어의 격조사체계에 관하여 연구한다든지, 아니면 현재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식주에 관련된 어휘 의미 등을 연구하는 것 모두가 공시언어학의 연구 대상이 된다된다. 그리고 문학이란 언어를 통한 예술이기 때문에 당연히 언어학은 문학과도 관련이 된다된다.
5. 통사론(Syntax)
로버트 로빈스, 강범모 역, 언어학의 역사(歷史), 한국文化(culture) 사, 2007
2. 음운론(Phonology)
1. 비교언어학(history언어학, history비교언어학)
6. 이론(理論)언어학
12. 언어학의 하위 분야 - 수사학, 문체론, 기호학, 문자학
14. 연구 차원에 따른 분야 - 전산의미론, history음운론, 이론(理論)통사론
그러므로 공시언어학의 연구는 어떤 지역의 말, 어떤 화자의 말이라도 동일한 시간대를 가정하고 연구를 하면 된다된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언어가 인간 정신 활동의 중심축이기 때문에 언어의 문제는 언어 자체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여러 다른 학문의 대상이기도 한다. 또, 외국어 등의 언어 교육 문제가 언어학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것도 당연하다.
Ⅳ. 결 론
Ⅲ. 언어학의 연구 분야
설명
6. 의미론(Semantics)과 화용론(Pragmatics)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성심껏 작성했습니다.
또한 언어 자체가 history를 가지고, 고대의 언어들이가 당시의 사회상을 각각 반영하므로 history학과 관련이 되어 진다.
7. 수리언어학
요하네스 페르, 최용호 역, 소쉬르 언어학과 기호학 사이, 인간사랑, 2002
1. 거시적 구분 - 공시언어학(synchronic linguistics), 통시언어학(diachronic linguistics)
[참고자료]
Ⅰ. 서 론
George Yule, 노진서 역, 언어학 강의, 케임브리지, 2009
7. 텍스트언어학
언어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살펴 볼 수가 있다 먼저 한 시점 또는 한 시대에서 언어의 모습을 observe하고 기술할 수도 있으며, 혹은 시간의 진행에 따른 언어의 變化(변화)에 관하여 연구를 할 수도 있다 전자를 공시적(synchronic) 관점이라고 하고, 후자를 통시적(diachronic) 관점이라고 부른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성심껏 작성했습니다.
Ⅱ. 언어학의 종류
Ⅰ. 서 론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