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 동향 /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9 19:39
본문
Download :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hwp
특허권의 경우 특허품이 적법하게 생산·판매된 경우에 그 양수인 등에 의한 특허상품의 판매나 사용 등은 특허 침해를 구성하지 않는데 그 이론(理論)적 근거 중 하나가 특허권을 정당하게 행사함으로써 특허권을 이미 사용하였다는 권리소진이론(理論)이다. 상표권의 경우, 상표를 표시한 상품이 권리자에 의해 적법하게 유통될 수 있는데 이때에도 그 후의 유통에 관련되어는 상표권을 침해 하지 않는다.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Ⅰ. 서론Ⅱ. 전통적...
순서
Download :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hwp( 58 )
[인문사회]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 동향 /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Ⅰ. 서론Ⅱ. 전통적...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Ⅰ. 서론Ⅱ. 전통적 최초판매이론(理論) 1. 의의 및 이론(理論)적 근거 2. 적용요건 3. 효과(效果)와 적용범위Ⅲ. 디지털 environment에서의 전통적 최초판매원칙의 drawback(걸점)Ⅳ. 디지털 최초판매원칙의 모색을 위한 국제동향 1. 국제조약 2. 미국 3. 유럽연합(EU)Ⅴ. 최초판매원칙의 수정 1. 저작물의 무형적 보급의 확산과 디지털 최초판매원칙 2. 기술적 보호조치의 적용과 최초판매원칙 3. 대량유통 이용계약을 통한 보급과 최초판매원칙Ⅵ. conclusion(결론)【 참 고 문 헌 】Ⅰ. 서론최초판매의 원칙1)은 지적재산권 전반에 걸쳐 존재하는 이론(理論)이다. 이 이유도 권리자가 권리를 이미 행사하여 권리가 없어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저작권에서도 저작권법 제43조 제1항에서 “저작물의 원작품이나 그 복제물이 배포권자의 특허를 받아 판매의 방법으로 거래에 제공된 경우에는 이를 계속하여 배포할 수 있다아”고 규정하고 있고, 소프트웨어의 경우 컴퓨터프로램보호법 제19조 제1항에서 “프로그램(program]) 저작권자 또는 프로그램(program]) 의 배타적 발행권자의 허락을 받아 원프로그램(program]) 또는 그 복제물을 판매의 방법으로 거래에 제공한 경우에는 이를 계속하여 배포할 수 있다아”라고 규정하여 저작권도 최초판매이론(理論)의 예외가 될 수 없음을 입법적으로 확인하고 있다아그러나 유체물의 양도를 전제로 하여 배포권이 소멸되는 최초판매이론(理論)은 기술발전에 따라, 특히 누리망 의 보급과 전송을 통한 저작물의 이전이 일상화되는 현대사회에 ...
설명
인문사회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 동향 /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