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범부처 전지구관측시스템 대응체제 마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6 01:07
본문
Download : 2005030.jpg
정부, 범부처 전지구관측시스템 대응체제 마련
설명
政府는 올 상반기 중에 범부처 대응체계를 마련해 61개국, 37개 국제기구가 공동 추진하는 ‘전지구관측시스템(GEOSS : Global Earth Observation System of Systems)’에 적극 참여키로 했다.
이를 위해 3월부터 임상규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전지구관측 범부처 대책위원회’와 한문희 과기부 에너지환경심의관을 팀장으로 하는 전담작업반(TFT)을 본격 가동한다.
정부, 범부처 전지구관측시스템 대응체제 마련
정부, 범부처 전지구관측시스템 대응체제 마련
Download : 2005030.jpg( 23 )
정부, 범부처 전지구관측시스템 대응체제 마련





오 부총리는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기술(IT)을 바탕으로 재해, 기상, 물, 에너지, 건강 등과 관련한 최적의 국가정책을 수립하고 경제·사회적 이익 극대화를 위해 관련 과학정보의 생산·유통체제를 범부처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과기부는 대책위원회와 전담작업반을 통해 유럽연합(EU), 미국, 日本 등이 수립한 GEOSS 국가전략(戰略) 을 分析(분석)한 후 9개 지구관측분야별 산·학·연·관 역할분담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 과기부, 환경부, 건교부, 기상청 등 부처 관계자와 민간전문가로 구성될 전담작업반은 오는 5월까지 ‘국가 차원의 GEOSS 대응 전략(戰略) 계획’을 마련해 7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나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 상정할 계획이다.
레포트 > 기타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
순서
다.
과기부 관계자는 “최근 미국이 백악관, 해양대기청, 나사(NASA), 국방성 등 30개 政府 기관의 범부처 대책위원회를 구성했으며 日本 도 문부과학성을 비롯한 8개 부처의 대책위원회를 구성함과 동시에 GEOSS를 미래 국가 10대 기간기술로 선정했다”며 “우리도 발빠르게 대응할 때”라고 설명(explanation)했다.
오명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은 8일 政府중앙청사에서 열린 제10회 국무회의를 통해 “지난달 16일 브뤼셀에서 열린 제3차 지구관측정(measurement)상회의(EOS : Earth Observation Summit)에서 의결한 지구관측그룹(GEO : Group on Earth Observations) 구성 및 ‘지구관측 10개년 이행계획’ 승인에 따른 효과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며 “산·학·연, 관련 부처 간 역할분담을 통해 체계적인 국가 대응전략(戰略) 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또 올 상반기 중에 국내 대응전략(戰略) 수립을 완료하고, 내년 상반기까지 세부시행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