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재혼가정내 모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 / 재혼가정내 모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4 17:54
본문
Download : 재혼가정내 모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hwp
가장 주목할 만한 變化는 재혼가족의 숫적인...
재혼가정내 모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 김 연 옥** 【 국 문 초 록 ...
인문사회 재혼가정내 모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 / 재혼가정내 모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
재혼가정내 모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 김 연 옥** 【 국 문 초 록 ...
순서





설명
다. 재혼모의 역할기능은 ‘조금’ 어려운 정도로 드러났으며 초혼일수록, 결혼에 불만족할 수록, 시댁과의 관계가 힘들수록, 계자녀와 갈등관계일수록 역할수행이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재혼가정내 모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hwp( 33 )
[인문사회] 재혼가정내 모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 / 재혼가정내 모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
재혼가정내 모의 역할기능에 관한 연구* 김 연 옥** 【 국 문 초 록 】 재혼가정이 엄연한 가족유형중의 하나로 존재하고 그 숫자가 현저히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에 관한 사회적, 학문적 관심은 매우 저조한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결혼만족도도 높게 나와서 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나 일반적 인식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결혼생활별 문제인식도도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계자녀와 관련된 영역들은 문제인식도가 높아 기존연구들과 일치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 결과로 계부모역할이나 자녀관계 등에 대해 부정적 선입견이나 이에 기초한 부정적 신화나 잘못된 *이 논문은 1997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자유공모project 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복지학과 교수 통념만이 난무하여왔다. I. 들어가는 말 우리 사회에 엄연히 존재하는 가족유형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나 학문적으로 별로 관심이 주어지지 않는 영역중의 하나가 재혼가족이다. 그 결과 검증 안된 사회적 통념과 편견만이 난무하고, 재혼가족이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사실적 규명과 이에 대한 적절한 사회복지적 접근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결과 ‘이혼후 재혼’이 새로운 가족culture로 정착하고 있으며, 여성의 재혼이 더 이상 사회적 금기가 아님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재혼가정에 대한 경험연구를 실시하여 재혼가정, 특히 재혼모의 역할기능의 어려움을 규명하고 이에 influence(영향)을 주는 변인을 밝히고, 또한 재혼가족의 특성(特性)과 재혼모가 인식하는 재혼생활의 문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우리 사회에서 觀察(관찰) 되는 사회culture적, 인구학적 變化양상은 재혼가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必要性)을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