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8 03:46
본문
Download : 원측.hwp
즉 첫 번째의 교흥제목(敎興題目)에서는『해심밀경』... , 원측기타레포트 ,
원측
원측의 주석서는 현장의 번역본을 주해한 유일의 현존서로서 네 부분으로 나누어서 연구하고 있다 즉 첫 번째의 교흥タイトル(敎興題目)에서는『해심밀경』이라는 경명에 관한 서술과 그 속에 설해지고 있는 교리의 필연적인 대두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으며, 두 번째의 변경종체(辨經宗體)에서는 일반적으로 경전이 설하는 논리에 구경적인 의미여부를 묻는 소전(所詮)의 종지와, 그 구경적인 의미를 개현해서 쓴 논리적인 표현 형식의 본질여부를 묻는 능전(能詮)의 교체(敎體)를 단지 본종에만 한하지 않고 일반 불교 각파의 주장을 검토해서 마침내 본종으로 귀결시키고 있다 이 중에서 능전의 교체에서는 섭망귀진문(攝妄歸眞門)ㆍ섭상귀식문(攝相歸識門) 등 5문으로 출체를 밝히고, 소전의 종지에서는 먼저 각 종파를 개괄하여 존망은진종(存妄隱眞宗), 견망존진종(遣妄存眞宗) 등 4종으로 분류하여 살펴 보고, 다음으로는 약시변종(約時辨宗)ㆍ부별현종(部別顯宗) 등의 분류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해심밀경』이 어떠한 위치에 놓여 있는가를 고찰하여 보면, 4종(四宗) 중에서는 진망구존(眞妄俱存)을 종체로 하고, 약시변종에서 말하면 요의를 종지로 삼으며…(省略)
원측의 주석서는 현장의 번역본을 주해한 유일의 현존서로서 네 부분으로 나누어서 연구하고 있다아 즉 첫 번째의 교흥title(敎興題目)에서는『해심밀경』...
다.레포트/기타
설명
Download : 원측.hwp( 42 )






,기타,레포트
순서
원측의 주석서는 현장의 번역본을 주해한 유일의 현존서로서 네 부분으로 나누어서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