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가전 배출·처리 `핫이슈`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2:39
본문
Download : 200205073.gif
나머지 부분은 중고상 등 민간 재활용 업자의 손에서 처리된다고는 하지만 대부분 필요부품만 수거된 채 버려지거나 방치되고 있어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있따





연 45만대 가량의 폐가전은 지역 재자원화 전문업체가 반자동 공정으로 처리하고 있지만 올해 40만대에서 내년 100만대 이상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PC까지 쏟아지면 처리용량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전자산업환경협회(회장 이상배)와 삼성·LG 등 전자업계가 올해 배출할 것으로 예상한 폐가전은 TV·냉장고·세탁기·에어컨 4품목에서만 144만9000대.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실제로는 200만대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따
레포트 > 기타
폐가전 배출·처리 `핫이슈`로
<임동식기자 dslim@etnews.co.kr>
특히 올들어 월드컵 특수와 政府(정부)의 디지털TV 보급 확대정책 등으로 신제품 보급률이 급증해 폐가전 배출량은 예상외로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올 1분기 전자업계가 회수한 폐가전은 21만6000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회수실적 및 올해 폐가전 회수 목표(goal)치인 76만대와 비교할 때 목표(goal)치를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폐가전 발생 예상치인 200만대와 비교할 때 크게 못미친다.
다.
중부권(아산) 리사이클링센터의 처리능력이 연간 28만대고 지난해 8월 준공된 영남권(칠서) 리사이클링센터는 연 24만대를 처리할 수 있따
한편 업계에서는 생산자재활용책임제 실시 등에 따라 부지 설정 및 매입 등 리사이클링센터 건립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해당지역 지자체와 지역주민의 이해관계가 엇갈려 센터 건립에도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전국 100여개 지회로 구성된 한국생활자원재활용협회가 올 1분기에 수거한 4개 대형 폐가전은 총 1만5000여대에 불과하며 오디오·VCR 등 기타 품목을 포함해도 3만대를 넘지 않는다.
폐가전 배출·처리 `핫이슈`로
폐가전 배출·처리 `핫이슈`로
정보가전시장의 급성장과 맞물려 폐가전 배출 및 처리문제가 다시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따
아날로그 제품이 첨단 디지털 제품으로 급속하게 대체되면서 더 이상 쓸모없게 된 폐가전이 가정으로부터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폐가전 배출·처리 `핫이슈`로
순서
더 큰 문제는 처리능력.
설명
호남권과 수도권 지역을 커버할 센터가 추진되고 있지만 완공되기까지는 적어도 1∼2년은 걸리고 완공돼도 연간 처리능력은 100만대 안팎 수준이다.
Download : 200205073.gif( 82 )
전자업계가 폐가전 처리를 위한 폐가전재활용센터(리사이클링 센터)를 지난 98년 중부권에 이어 지난해 영남권 센터까지 완공해 가동하면서 폐가전 처리능력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연간 처리능역면에서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