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문해자와 육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22:41
본문
Download : 설문해자와_육서.hwp
한자는 원래 갑골문자에서 발생하였으며 사물의 형태를 그리는 상형문자로부터 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동식물이나 자연의 모습, 인체, 물건의 형태 등 주변에서 흔히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들이 상형에 해당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설문해자와 육서
설문해자와 육서
다.
설문해자 육서 상형 형성 가차
설명
[] 설문해자와 육서
Download : 설문해자와_육서.hwp( 59 )
1.상형(象形)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 상형(象形)이란 코끼리 발자국에서 파생되어 `본뜨다`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상형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槪念이나 존재에 대상으로하여는 다른 방법으로 이를 나타낼수 있도록 한 것이 바로 육서이다. 육서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육서는 후한(後漢)시대에 허신(許愼)이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요약한 것인데, 이 허신은 부수 214개를 만들어 후대의 자전 편찬에 큰 influence(영향)을 끼쳤다. 즉 모양(形)과 소리(音)와 뜻(意)의 세 요소에 의해 여섯가지 방법으로 한자를 만드는 것이다. 육서의 원리중 상형, 지사, 회의, 형성을 한자 구성의 원리, 전주와 가차를 한자 운용의 원리로 크게 구분하기도 한다. 육서(六書)란 한자가 만들어지게 된 여섯가지 원리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