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 형상analysis(분석) 실험 결과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8:02
본문
Download : [기계설계] 형상분석 실험 결과 보고.hwp
금속의 재료를 Guess하는 과정에서 금속표를 보니 아연이나 주석 등 밀도가 비슷한 것들이 많아서 재료를 확신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생각보다 3D스캐닝 결과가 깨끗하지 못하여 정확한 분동의 치수측정이 어려워서 3D 스캐닝 결과를 UG NX6.0으로 모델링 하는 과정에서 분동의 부피 계산에 오차가 있으리라고 본다. 특히 분동의 윗부분 헤드부분을 일반 원기둥으로 잡았는데 실제는 약간 옆면이 둥근 형태의 구 모양이었다. 하지만 충분한 3D스캐닝 값이 없어서 일반화 시켜 적용하였다. 인듐의 속성 을 보고 분동의 재료로는 적합하지 않은 금속이라고 판단하여 다른 금속의 물성을 찾아보았다. 기계공학의 경우 물체를 가공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2차원 도면도 수년 후에는 사라지고, 3차원 모델이 이를 대체할 것이다.
기초 및 응용과학의 여러 분야에 사용되는 영상analysis(분석) 에서는 영상처리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의 2차원 영상에서 탈피하여, 물체를 모습 그대로 3차원 영상으로 실현하여 이를 직접 analysis(분석) 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따 기계工學(공학) 의 경우 물체를 가공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2차원 도면도 수년 후에는 사라지고, 3차원 모델이 이를 대체할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3차원 영상처리기술의 하나인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해 얻은 3차원 영상으로부터 필요한 형상데이터를 추출해내는 기본 실험을 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그 오차 때문에 재료를 Guess하는데 있어서 오차가 발생했을 것으로 생각된다된다.
순서
![[기계설계] 형상분석 실험 결과 보고-1611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A%B8%B0%EA%B3%84%EC%84%A4%EA%B3%84%5D%20%ED%98%95%EC%83%81%EB%B6%84%EC%84%9D%20%EC%8B%A4%ED%97%98%20%EA%B2%B0%EA%B3%BC%20%EB%B3%B4%EA%B3%A0-1611_01.jpg)
![[기계설계] 형상분석 실험 결과 보고-1611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A%B8%B0%EA%B3%84%EC%84%A4%EA%B3%84%5D%20%ED%98%95%EC%83%81%EB%B6%84%EC%84%9D%20%EC%8B%A4%ED%97%98%20%EA%B2%B0%EA%B3%BC%20%EB%B3%B4%EA%B3%A0-1611_02_.jpg)
![[기계설계] 형상분석 실험 결과 보고-1611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A%B8%B0%EA%B3%84%EC%84%A4%EA%B3%84%5D%20%ED%98%95%EC%83%81%EB%B6%84%EC%84%9D%20%EC%8B%A4%ED%97%98%20%EA%B2%B0%EA%B3%BC%20%EB%B3%B4%EA%B3%A0-1611_03_.jpg)
![[기계설계] 형상분석 실험 결과 보고-1611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A%B8%B0%EA%B3%84%EC%84%A4%EA%B3%84%5D%20%ED%98%95%EC%83%81%EB%B6%84%EC%84%9D%20%EC%8B%A4%ED%97%98%20%EA%B2%B0%EA%B3%BC%20%EB%B3%B4%EA%B3%A0-1611_04_.jpg)
![[기계설계] 형상분석 실험 결과 보고-1611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6/%5B%EA%B8%B0%EA%B3%84%EC%84%A4%EA%B3%84%5D%20%ED%98%95%EC%83%81%EB%B6%84%EC%84%9D%20%EC%8B%A4%ED%97%98%20%EA%B2%B0%EA%B3%BC%20%EB%B3%B4%EA%B3%A0-1611_05_.jpg)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이번experiment(실험)은 금속의 재료를 추측하기 위해 3D 스캐너로 2kg 질량의 분동을 촬영하여, UG를 이용 분동의 각 부분 지름과 높이를 측정하여 부피를 계산하고 밀도를 계산하는 experiment(실험) 이였다.
기초 및 응용과학의 여러 분야에 사용되는 영상분석에서는 영상처리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의 2차원 영상에서 탈피하여, 물체를 모습 그대로 3차원 영상으로 실현하여 이를 직접 분석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3차원 영상처리기술의 하나인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해 얻은 3차원 영상으로부터 필요한 형상데이터를 추출해내는 기본 실험을 행하고자 한다. 시중에 많이 쓰이는 분동의 재질 및 밀도 값은 다음(표2.)과 같다. 이를 토대로 하여, experiment(실험)측정 값과 비교한 결과, 주철의 밀도 값이 가장 근사함을 확인 하였으며, 분동이라는 조건이 없을 시에는 인듐, 조건이 있을 시에는 주철이 물질의 재료로 가장 적합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기계설계,형상분석실험,형상데이터,영상처리
Download : [기계설계] 형상분석 실험 결과 보고.hwp( 11 )
다.
설명
[기계설계] 형상analysis(분석) 실험 결과 보고서
인듐이라는 다소 생소한 금속의 밀도가 일치하여 인듐이라는 금속에 관하여 찾아보게 되었고, 주로 섬아연석 등 황화광물 속에서 미소량이 발견되며 은백색의 납처럼 무른 금속으로, 상온에서 안정한 고체금속 중에서 가장 연하기 때문에 칼로 자를 수도 있으며, 문지르면 곧 부착하고, 굽히면 주석과 같은 소리가 나는 금속임을 알 수 있었다. 난생 처음 3D 스캐너를 접하게 되어서 매우 신기했다. 일단 우리가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한 물체가 분동임을 알고 있으므로 분동에 사용되는 재료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