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텍시스와 동일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5 11:55
본문
Download : 카텍시스와 동일시.hwp
항 카텍시스의 槪念은 내적인 좌절감으로 볼 수 있따 외부적 좌절감은 일종의 결핍 상태이고, 내적인 좌절감은 내부적인 자기억압상태이다. 어떤 일을 하는데 외부적 장애가 나타나면 외부적 좌절감이 발생하고, 그의 자아나 초자아가 그것을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 내부적 좌절감이 발생한다.
설명
순서
카텍시스와 동일시
1. 카텍시스(cathexis)
정신analysis(분석) 학에서는 인간의 행동은 본능적 충동의 힘과 이를 감시, 억압하는 힘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원욕과 초자아는 자아를 서로 자기 편에 넣기 위해 갈등을 일으키지만 직접 충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타인을 본받고 닮고자 하는 경향은 우리의 인격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drop)
카텍시스와 동일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카텍시스와 동일시.hwp( 19 )
카텍시스와 동일시 , 카텍시스와 동일시인문사회레포트 , 카텍시스와 동일시
카텍시스와,동일시,인문사회,레포트
카텍시스와 동일시



다. 이의 역할은 우리가 불쾌감이나 불안한 생각에 휩싸이지 않게끔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원욕과 자아 간의 갈등, 자아와 초자아 간의 갈등이 있다는 것이다. 기억들이 어찌해서 억압되는 것인가 첫째, 그 기억이나 기억과 연관된 일들이 매우 불쾌하고 고통스러운 경우이다. 이 과정에서 충동적이며 무엇인가를 촉진하는 정신적인 힘을 카텍시스라 하고 이를 억제하는 힘을 항 카텍시스라 한다.
한 인간의 생이나 사회생활에 있어 카텍시스의 수준에 따라 여러 가지 연쇄 reaction(반응)적인 일들이 일어나게 되기 때문에 우리가 어떤 사람의 행동을 예측한다는 것은 극히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2. 동일시
동일시는 주로 외부적 대상이나 타인의 특징을 자기 자신의 마음속에 받아들이는 것이다.
기억력이 어떤 저항이나 항 카텍시스의 작용 때문에 방해를 받아서 기억이 안 되는 경우는 단순히 `및어버렸다`든가 망각종만으로는 설명(explanation)이 안 되고 억압되어 있다고 해야 옳다.
무의식 속의 깊숙한 곳에서 카텍시스와 항 카텍시스가 서로 대립되는 상태를 정신 내적 갈등이라 한다. 이런 경우에 항 카텍시스가 작용한다. 이드는 카텍시스의 힘에 의해 움직이고, 자아와 초자아는 항 카텍시스의 힘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갈등의 결과는 성격 발달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