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 (퇴직,방출) 관리의 기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8:44
본문
Download : 이직 (퇴직,방출) 관리의 기초.hwp
2. 이직의 유형(의사결정 주체에 따른 분류)
(1) 자발적 이직
: 종업원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전직, 사직 등이 있따
(2) 비자발적 이직
: 종업원 의사에 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업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정년퇴직과 고용조정으로 구분된다 고용조정에는 징계해고, 명예퇴직(조기퇴직, 희망퇴직), 정리(arrangement)해고 등이 있따
Ⅱ. 이직의 efficacy
(1) 긍정적 efficacy
① 원가절감을 통한 경쟁력 재고
② 조직 분위기 쇄신 및 활력
③ 종업원들의 성장욕구 충족 및 승진기회 확대
(2) 부정적 efficacy
① 능력자의 이탈과 무능력자의 잔존
② 신참에 대한 교육훈련 비용 증대
③ 동료 근로자들의 사기저하
Ⅲ. 이직관리의 중요성
위에서 說明(설명) 한 바처럼 이직은 긍정적 efficacy와 부정적 efficacy를 모두 갖는다.
① 무한 경쟁시대의 상시적 구조조정 및 새로운 조직 관념 대두
(다운사이징, 리엔지니어링, 조직슬림화 등…(skip)
이직 (퇴직,방출) 관리의 기초
Download : 이직 (퇴직,방출) 관리의 기초.hwp( 14 )
이직 (퇴직,방출) 관리의 기초
레포트/경영경제
이직 (퇴직,방출) 관리의 기초 , 이직 (퇴직,방출) 관리의 기초경영경제레포트 , 이직 퇴직 방출 관리 기초
%20%EA%B4%80%EB%A6%AC%EC%9D%98%20%EA%B8%B0%EC%B4%88_hwp_01.gif)
%20%EA%B4%80%EB%A6%AC%EC%9D%98%20%EA%B8%B0%EC%B4%88_hwp_02.gif)
이직,퇴직,방출,관리,기초,경영경제,레포트
설명
순서
다. 그러므로 기업의 이직관리는 유능한 종업원들의 자발적 이직을 최소화하고, 고용조정에 따른 노사간의 갈등 및 기업이미지 훼손을 최소화함으로써 유능한 인력의 지속적인 활용과 유지를 도모하는데 그 중요성이 있따
Ⅳ. 최근 이직관리가 특히 중요해지는 배경
최근에 이직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데, 그 배경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그러나 보다 엄밀히 定義(정이)하자면 이직의 관념은 광의와 협의로 구분할 수 있따 광의의 이직은 종업원의 입직과 이직을 모두 포함하는 관념으로 노동이동이라고 한다.
2. 이직의 유형(의사결정 주체에 따른 분류)
(1) 자발적 이직
: 종업원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전직, 사직 등이 있따
(2) 비자발적 이직
: 종업원 의사에 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업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정년퇴직과 고용조정으로 구분된다 고용조정에는 징계해고, 명예퇴직(조기퇴직, 희망퇴직), 정리(arrangement)해고 등이 있따
Ⅱ. 이직의 efficacy
(1) 긍정적 efficacy
① 원가절감을 통한 경쟁력 재고
② 조직 분위기 쇄...
이직 (퇴직, 방출) 관리의 기초
Ⅰ.이직의 의의와 유형
1. 이직의 의의
일반적으로 이직은 사용자와 종업원간의 고용관계가 종료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직 (퇴직, 방출) 관리의 기초
Ⅰ.이직의 의의와 유형
1. 이직의 의의
일반적으로 이직은 사용자와 종업원간의 고용관계가 종료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적정수준의 이직은 기업에 긍정적인 efficacy를 가져다주지만 과도한 자발적 이직, 특히 유능한 종업원의 이직은 기업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반면 협의의 이직은 조직으로부터 금전적 보상을 받는 개인이 조직에서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파기하고 조직을 떠나는 것을 말한다. 반면 협의의 이직은 조직으로부터 금전적 보상을 받는 개인이 조직에서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파기하고 조직을 떠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보다 엄밀히 定義(정이)하자면 이직의 관념은 광의와 협의로 구분할 수 있따 광의의 이직은 종업원의 입직과 이직을 모두 포함하는 관념으로 노동이동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