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의 언어 비교와 未來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4 16:01
본문
Download : 남북한의 언어 비교와 미래.pptx






설명
_SLIDE_1_
남북한의 언어 비교와 future
_SLIDE_2_
목 차
1. 남북한의 공용어
2. 북한의 어휘
3. 북한의 어휘에 대한 conclusion(결론)
_SLIDE_3_
남한은 서울말 중심의 표준어,
북한은 평양 중심의 文化(문화)어
새로운 형태의 민족어.
북한이 남한의 언어가 민족의 고유성을 파괴한다고 여겨 대립적인 언어로 만듦.
文化(문화)어
1. 남북한의 공용어
_SLIDE_4_
분단으로 인한 다른 이념과 정치 체제.
→ 서로의 상황에 맞는 언어 체계가 형성
표준어가 다른 이유
_SLIDE_5_
2. 북한의 어휘
어휘정리(arrangement)
우리말을 아름답고 바르게 쓰도록 하는 북한의 사업
말다듬기 운동
文化(문화)어 운동
현재 5만 단어를 다듬음
_SLIDE_6_
어휘정리(arrangement)방향을 통한
북한의 어휘
_SLIDE_7_
(1) 한자어나 외래어를 고유어로 순화
2. 북한의 어휘
봉건시대의 청산, 우리말의 주체적 발전을 도모한다는 명목
대부분 남한에서 사용하지 않음
_SLIDE_8_
가발
달걀
관절
냉면
대기실
산책로
덧머리
닭알
뼈마디
찬국수
기다림칸
거님길
2. 북한의 어휘
`한자어를 고유어로 순화`
_SLIDE_9_
골키퍼
드레스
샴푸
슬리퍼
파마
젤리
문지기
나리옷
머리비누
끌신
볶음머리
단묵
`외래어를 고유어로 순화`
_SLIDE_10_
(2) 일상화된 한자어 그대로 사용
1949년 한자를 폐지한 이후에도 체제의 강조를 위해 한자어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씀
한자 폐지 이후 대중들의 국어 어휘의 이해 능력이 저하되어 1968년부터 한자교육 실시
_SLIDE_11_
`남과 북에서 다르게 쓰는 한자어`
공무원
대중가요
솔선수범
화장실
수업시간
정무원
군중가요
이신작칙
위생실
상학시간
_SLIDE_12_
거실
정사각형
리본
오페라
홍수
샤워실
치약
살림방
바른사각형
꽃댕기
노래이야기
큰물
물맞이칸
이닦이약
(3)…(drop)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남북한의 언어 비교와 未來
남북한,언어,비교와,미래,인문사회,레포트
남북한의 언어 비교와 未來
Download : 남북한의 언어 비교와 미래.pptx( 68 )
남북한의 언어 비교와 미래 , 남북한의 언어 비교와 미래인문사회레포트 , 남북한 언어 비교와 미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