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학 사상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0 21:40
본문
Download : 양명학 사상의 특징.hwp
『전습록』은 말한다
■■알면서 행하지 않는 경우는 없다. 다시 말하면 뚜렷한 취지와 논리 위에서 제창된 것이다.양명학8
,인문사회,레포트
양명학 사상의 특징에 대한 글입니다. 알면서 행하지 않았다면 아직 제대로 안 것이 아니다.양명학8 , 양명학 사상의 특징인문사회레포트 ,
양명학 사상의 특징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양명학 사상의 특징.hwp( 96 )






양명학 사상의 특징에 대한 글입니다.
1.양명학의 형성
-진헌장
-왕양명
2.심즉리의 일원적 생명체계
3.지행합일설
(1)지행합일설의 취지와 논리
(2)지행합일설의 내용
1)지(지)와 행(행)의 불리(불리)
2)학(학)과 행(행)의 불리(불리)
4.치양지설
(1)치양지론
(2)치양지론의 문제가되는점
5.요점
6.리포트를 마치며
7.서지사항
3.지행합일설
(1)지행합일설의 취지와 논리
양명의 지행합일설은 단순히 학술 이론(理論)으로 국한되어 제창되었다기 보다는 뚜렷한 동기와 목적 그리고 신념에 입각한 이론(理論)적 근거위에서 제창되었다. 지는행의 처음 이고, 행은 지의 완성이다 고 말했다.
나는 전에 지는 행의 지침이며, 행은 지의 공부이다. 우리가 반드시 행위
4)『왕양명의 철학연구』p218~210참조 .
에 양지를 발현해야(치량지) 비로소 양지의 지는 완성된다 이것이 양명의 지행합일설(지행합일설)의 key point(핵심) 이다.
심학에서 제시되는 양지(양지)는 지(지), 치량지(치량지)는 행(행)이다. 바르게 이해한 경우 오직 지(지)만 말하더라도 이미 행(행)이 내재되어 있고, 오직 행만 말하더라도 이미 지가 내재되어 있다■■.5)
요컨대, 지행합일의 종지(종지)는 ‘지행(지행)의 본체상(본체상)합일’과 지행합일에 의한 ‘현실바로잡기’로 요약할 수 있다 ‘지행의 본체상 합일’은 지지(양지)와 행행(도덕행위)이 본래 한 가지이므로 한결같이 일관됨을 의미하며, ‘현실바로잡기’는 지행합일을…(To be continued )
순서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