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 윤리의 구조와 사회적 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07 15:35
본문
Download : 유교 윤리의 구조와 사회적 기능.hwp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1) 도덕성의 내적 기준으로서의 仁
유교 윤리의 구조와 사회적 기능
순서
1. 인의예지의 윤리 체계
(1) 도덕성의 내적 기준으로서의 仁
① 仁은 넓은 의미에서 `사랑`으로 규정되며 이외에도 인간다움, 동정, 心, 善, 완전한 덕, 도덕적 탁월성 등의
의미를 동시에 함축하고 있다② 맹자는 仁의 근거를 `惻隱之心`, `不忍之心`에 두었다.
㉣ 擴而充之는 推己及人하는 忠恕에 의거하여 가능해진다.
㉢ 인은 擴而充之하는 데서 비로소 실현되는 도덕이다.
㉠ 측은지심은 본래부터 있던 마음이 자연적으로 발안하는 것이다.③ 인의 의미는 편의상 두 종류로 나누어질 수 있다
㉠ 특수한 덕목으로서의 仁은 義나 禮·智·勇 등과 대비하는 것으로 사용되며, 이때의 仁은 단적으로 `사랑`내지는 `동정심`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도덕적 탁월성이라는 일반적 의미로서의 仁은 義·禮·智·勇·忠 등의 특수한 개별적 덕목들을…(省略)
④ 공자는 孝弟가 이러한 인의 근본이라고 선언했다.
⑤ 공자는 이러한 인을 실천하는 최고의 규칙으로서 忠恕를 제시했다.






1. 인의예지의 윤리 체계 (1) 도덕성의 내적 기준으로서의 仁 ① 仁은 넓은 의미에서 `사랑`으로 규정되며 이외에도 인간다움, ... , 유교 윤리의 구조와 사회적 기능인문사회레포트 ,
1. 인의예지의 윤리 체계
레포트/인문사회
① 仁은 넓은 의미에서 `사랑`으로 규정되며 이외에도 인간다움, ...
Download : 유교 윤리의 구조와 사회적 기능.hwp( 11 )
다.
㉡ 맹자는 측은지심은 仁의 시초 내지는 발단일 뿐 엄밀한 의미에서 인 자체는 아니다고 하였다.
㉤ 忠은 자기의 마음을 다하는 진심이요, 恕는 자기의 마음을 미루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생각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