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컴퓨터 보조학습 프로그램(program]) 의 개발과 활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0 22:05
본문
Download : 멀티미디어 컴퓨터 보조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hwp
Pressey의 교수기계는 선다형의 교수기계로 문제가 제시되면 학습자는 제시된 네 개의 답 중 맞다고 생각되는 것을 골라 답에 대응한 키를 누르는 것으로 맞으면 다음의 문제가 틀리면 문제가 그대로 남아 있는 형태이다. 이 교수기계는 사전에 준비된 순서대로 교재를 연속적으로 제시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각 항목에 대해 해답을 기록하면 기계가 즉각적으로 정답과 오답을 알려 주도록 되어있다아 이러한 교수기계들은 문제제시->문제에 대한 응답 ->즉각적인 정오 판별을 반복으로 하여 학습내용의 제시, 학습결과에 대한 피드백, 진도에 따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개별처리기이다.
그러나 교수기계는 큰 부피와 엄청난 경비의 부담으로 실용화를 할 수 없었다.
설명
멀티미디어 컴퓨터 보조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활용, 실제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이보다 좀더 발달한 형태의 교수기계는 1958년 Zeaman과 Skinner가 고안한 반응 구성형 교수기계이다. 교수기계의 큰 부피와 경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 호로그램 학습이다.멀티미디어컴퓨터보조학습프로그램의개발과활용 , 멀티미디어 컴퓨터 보조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기타레포트 ,
다.
Ⅱ. 멀티미디어 컴퓨터 보조학습 호로그램의 개발
1. 컴퓨터를 활용한 학습적 접근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Pressey는 1926년 처음으로 교수기계를 고안하여 학습에 이용하였다. 호로그램의 학습은 책의 형식으…(省略)






멀티미디어컴퓨터보조학습프로그램(program]) 의개발과활용
순서
Download : 멀티미디어 컴퓨터 보조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hwp( 24 )
레포트/기타
멀티미디어 컴퓨터 보조학습 프로그램(program]) 의 개발과 활용
,기타,레포트
멀티미디어 컴퓨터 보조학습 프로그램(program]) 의 개발과정과 활용, 실제에 마주향하여 정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