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1970년대 비평의 쟁점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13 09:31
본문
Download : 1960~1970년대 비평의 쟁점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hwp
조별 assignment로 전기산업화 시대의 비평에 대해 조사를 하면서 이시기의 비평사에 대한 여러 논자…(To be continued )
설명
1960~1970년대 비평의 쟁점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1960~1970년대비평의
1960~1970년대의 비평을 논쟁사적으로 분류하고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에 대하여 쓴 글입니다.
Download : 1960~1970년대 비평의 쟁점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hwp( 72 )
다.1960~1970년대비평의 , 1960~1970년대 비평의 쟁점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1960~1970년대의 비평을 논쟁사적으로 분류하고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에 대하여 쓴 글입니다. 아마도 이 시기는 한국 비평사에서 가장 왕성한 창조적 시대로 기록되리라고 판단됩니다.
1. 들어가며 (시대, 장르 선택의 이유)
이 시기의 우리 비평은 4월 혁명의 influence(영향) 아래 그 동안 독존적 위치를 누려왔던 순수문학론을 비판하면서 촉발된 1960년대 후반의 순수·참여논쟁으로 열리게 된다 최원식은 이 시기를 한국 비평사에서 가장 왕성한 창조적 시대로 칭하였으며 “독재와 분단을 넘어서 어떤 문학을 건설하느냐 하는 core적 쟁점을 둘러싸고 민족문학론을 비롯한 다양한 이론(理論)이 모색되면서 이론(理論) 비평이 다시 활발해 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거니와, 유의할 점은 그럼에도 앞 시기와 달리 문학의 본령을 지키려는 고심과 외국 추수를 경계하는 것은 물론 자본주의와 현존 사회주의를 동시에 넘어서고자 하는 대안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 최원식「비평가의 자기 점검」, 유종호, 김윤식 외 30인의『한국 현대 문학 50년』(민음사, 1995) p. 280
순수·참여논쟁 외에도 리얼리즘 논쟁, 민족·민중문학론의 논쟁 등 활발한 비평활동이 전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