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28 00:03
본문
Download : 국악분석.hwp
순서
국악분석
,기타,레포트
Download : 국악분석.hwp( 20 )
설명
레포트/기타
이훈구, “序”, 정노식, 『조선창극사』
1. 궁정악(아악)
(1) 제악 : 종묘악, 대성전악, 사직악, 천제악, 군제악 등
(2) 연악 : 무극악, 무도악
(3) 군악 : 改善곡, 거동곡 등
2. 민중악
(1) 기악 : 영산회상곡
(2) 성악 : 노래(가사, 가곡), 소리(창극조), 민요(남도, 경기, 서도, 기타가요)
이 분류법은 수용공간 또는 수용자를 기준으로 최상위 분류를 궁정악(아악)과 민중악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민요는 남도·경기·서도가요로 분류된 것으로 보아 전문소리꾼이 부르던 창민요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때문인지 이 분류법에는 비전문소리꾼들이 부르던 민요와 풍물은 분류에서 빠져 있따
이 뿐만 아니라 민간의 삼현육각, 무의식음악(굿음악), 불교음악 등도 분류에서 제외되어 있따
초기의 분류법이어서 …(투비컨티뉴드 )
한국음악의 분류에 대한 다양한 저서에 대해서 고찰하고 가장 적당한 분류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국악분석-한국음악의분류 , 국악분석기타레포트 ,





국악분석-한국음악의분류
한국음악의 분류에 대한 다양한 저서에 대하여 고찰하고 가장 적당한 분류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다. 그러나 궁정악은 기능을 기준으로, 민중악의 경우는 연주형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하위분류를 하는 등 분류기준이 서로 대칭적이지 않아 기준의 통일성이 없다고 볼 수 있따
성악은 다시 노래·소리·민요 등의 항목으로 세분화시키는데, 소리(창극조)를 노래와 따로 분리시켜 분류한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