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의열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24 07:36
본문
Download : [인문] 의열단.hwp
이에 안창호를 중심으로 파벌극복과 전선통일을 위해 ‘대동단conclusion(결론)’을 폈는데, 그는 대당(大黨)결성의 필요성(必要性)을 역설하고 민족유일당 건설을 위해 각 지역에 촉성회를 조직할 것 등에 합의했다. 모두 20개 조항으로 된 의열단 강령은 진정한 민주국 건설, 생활상 평등한 경제조직의 건립, 지방자치제 실시, 남녀 간 정치적 권리의 평등, 국비교육 실시, 日本 인 및 반민족자 재산의 공유화, 대지주의 토지몰수, 노농운동 보장, 대규모 생산기관 및 독점기업의 국영화, 사회보장제도 실시 등을 내세워 해방이후 수립될 국가의 방향을 제시했고 이와 같은 의열단 강령은 1930년대에 결성된 민족혁명당을 비롯한 독립운동 정당의 강령에 큰 effect(영향) 을 주었다. 이후 1928년 10월에는 제 3차 전국대표대회선언과 강령을 발표했다. 그러나 유일당 운동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사회주의자들과 민족주의자들은 서로 다른 입장을 드러냄으로써 분열의 조짐을 보이기 처음 했고 유일당의 통일적 지도노선 수립을 어렵게 만들었다.
당시 관내지역의 민족해방운동세력들은 대부분 민족유일당의 필요성(必要性)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실현하기 위한 운동이 빠르게 진전되었다.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내외적 요인에 의해 민족유일당운동은 상해촉성회가 해체되면서 결국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이렇게 민족유일당운동의 실패 이후 독립 운동가들은 이념과 노선에 따라 각기 정당을 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활동하게 되는데 이때 의열단도 점차 독립운동정당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또한 중국(中國)의 제 1차 국공합작의 와해도 유일당 운동이 결렬되는 현실적배경이 되었다.
2. 의열단의 變化(변화)과정
의열단 조직이후 그 활동은 의백 김원봉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본부는 일정한 곳에 두지 않고 김원봉의 거처가 본부 구실을 하고 상해?북경?남경?광동 등 관내의 주요 도시를 옮겨 다니며 상해에 12개소의 폭탄제조소를 비밀리에 설치하였다. 당시 중국(中國)관내지역은 만주?노령지역에 비해 교포사회의 기반이 약했지만 3.1운동 직후 국외 망명인사들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임시政府(정부)가 상해에 수립되면서 국외 민족해방운동의 주요한 활동무대가 되었다.
이러한 의열단은 1925년에 테러활동만으로는 민족해방을 쟁취하기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계획적인 혁명훈련과 간부조직에 착수하여 의열단의 운동노선이 개인적 폭력투쟁에서 무장투쟁노선으로 바뀌며 종래의 조직체계와는 달리 광동에 본부를 두고 상해?남경?무창 등지에 지부를 두었으며, 비밀?정치?재정?선전?조직 등의 부서를 두었다.
이후 의열단은 1930년 8월 조선공산당
[인문] 의열단
다. 이에 의열단도 유일독립당 촉성운동에 대한 선언을 발표하고 이 선언에서 통일적 총 지도기관이 확립되는 즉시 본단을 해체하되 대 독립당이 조직될 때까지 각 단원에게 대독립당의 주의?강령 및 당적 훈련에 노력할 것을 아울러 선포하여 유일당운동에 적극 참여할 뜻을 밝혔다. 그러나 이후, 상해지부에서 해체성명서를 발표함에 따라 의열단의 활동이 어렵게 되었고 이에 만주사변과 상해사변을 계기로 중국(中國)관내 우리 민족해방운동전선에도 항일투쟁 열기가 고조됨을 계기로 김원봉 등은 남경으로 옮겨와 의열단 활동을 다시 처음 했다. 1930년대 전반기에 의열단은 중국(中國)국민당 政府(정부)의 지원 아래 남경근처에 조선혁명간부학교를 창립하고 군사훈련에 힘썼고, 한편으로는 관내지역 독립운동정당, 단체의 통합운동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Ⅱ 본 론
1…(skip)3. 충의의 기백과 희생의 정신이 확고한 자라야 단원이 될 수 있음
4. 단의에 선(先)하고, 단원의 의(義)에 급히함
5. 의백(의열단의 우두머리)일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함
6. 어느 때 어느 곳에서나 매월 일차식 사정을 보고함
7. 어느 때 어느 곳에서나 초회(初會)에 필 응함
8.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에 진(盡)함
9. 일(一)이 구(九)를 위하여, 구가 일을 위하여 헌신함
10. 단의에 반배(返背)한 자를 처살함
또한 이들은 암살대상으로, 조선총독 이하 고관, 군부수뇌, 대만총독, 매국적, 친일파 거두, 적탐, 반민족적 토호열신 등을 규정하고 파괴대상으로는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각 경찰서, 기타 일제의 중요기관등을 삼았다. 이렇게 민족유일당 조직에 대한 분위기가 고조되자 지역 촉성회대표들은 한국독립당관내촉성회연합회를 결성하고 “유일독립당 성립을 촉성하는 각지 촉성회조직준비회 성립에 노력할 것, 한국 독립에 필요한 전 민족적 일체 혁명역량을 총 집중하는데 선구가 될 것“ 을 강령으로 채택했다. 이 두 갈래의 큰 흐름은 민족운동의 이념?방법?주도세력 등에 따라 다시 여러 갈래로 나누어 질 수 있따 1926년 말 조선 내에 350여개의 사상단체가 존재하였다는 사실은 당시 민족운동의 복잡함을 잘 말하여 준다.
[인문] 의열단 , [인문] 의열단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의열단
레포트/인문사회
[인문] 의열단
설명
Download : [인문] 의열단.hwp( 67 )
![[인문]%20의열단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C%9D%98%EC%97%B4%EB%8B%A8_hwp_01.gif)
![[인문]%20의열단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C%9D%98%EC%97%B4%EB%8B%A8_hwp_02.gif)
![[인문]%20의열단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C%9D%98%EC%97%B4%EB%8B%A8_hwp_03.gif)
![[인문]%20의열단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C%9D%98%EC%97%B4%EB%8B%A8_hwp_04.gif)
인문,의열단,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의 열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