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철학적 이해 - Solaris. 1972(솔라리스 1972를 보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0:09
본문
Download : 영화의 철학적 이해 - Solaris.hwp
또한 영화속 영상으로만 존재하는 기바리안도 마찬가지로 이해 못하는 상황에서 그런 상황을 이해 못하는 자신을 부끄러워하며 자살했고, 주인공의 아내인 하리는 자신이 무엇인지는 이해못하지만, 자신이 행성 밖 지구에서는 살아갈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하고 결국 자살적인 행동으로 자신을 소멸시킨다. 그리고 오랜 세월이 지난 뒤 주인공에게 상황이 일어났다는 것만 어느정도 이해시킨다.
영화의 철학적 이해,Solaris. 1972,솔라리스 1972
Download : 영화의 철학적 이해 - Solaris.hwp( 72 )
이 영화는 발전한 과학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모든 것은 인간의 기준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인간들이 지구적인 환경이 아닌, 이해할 수 없는 환경에서의 반응을 보여주며, ‘과연 인간은 모든 것을 이해할 준비가 되어있는가?’ 라는 주제를 물어본다. 버튼은 실종된 페쉬너를 찾으러 비행을 갔다가 솔라리스 바다의 특별한 현상을 목격한다. 그리고 주인공과 스나우트, 사르토리우스는 솔라리스의 탐사선에서 자신의 양심 속에 존재하는 죽은 혹은 죽었다고 추정되는 인물들이 다시 등장하고, 사람으로 가정할 수 있다면 하리는 자신의 이상한 점을 시간이 갈수록 인식한다.
영화의 철학적 이해 - Solaris. 1972(솔라리스 1972를 보고)
결국 영화내의 인물들은, 자신에게 절대 이해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난다면, 자살하고, 타인에게 판단을 미루고, 이해 불가능한 것을 파괴하려 하고, 이해하기를 거부하는 인간상을 나타낸다(경우에 따라서는 영화 말미의 주인공이 모든 것을 이해할 준비가 되어있는 인간상으로 해석될 수 있겠지만, 단지 낙관하는 자세로, 과연 이해할 준비가 되어있는지는 의문이다. 결국 상황에 순응하고 열린 자세로, 이해는 불가능하지만 언젠가 기적이 일어난다면 이해가능할거라고 낙관하는 주인공, 이해못하는 상황을 어떻게든 이해해보려고 시도를 해보지만 진정한 이해는 못깨닫고(중성미자가 왜 안정되는지, 갑자기 방문자가 왜 다시 돌아오지 않는지) 이해못하는 사물을 파괴하려는 듯한 행동을 하는 사르토리우스, 이해는 불가능하지만 어떤 意見도 가지지 않는 스나우트로 나뉜다.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이 영화는 발전한 과학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모든 것은 인간의 기준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인간들이 지구적인 environment이 아닌, 이해할 수 없는 environment에서의 반응을 보여주며, ‘과연 인간은 모든 것을 이해할 준비가 되어있는가?’ 라는 주제를 물어본다. 그리고 주인공과 스나우트, 사르토리우스는 솔라리스의 탐사선에서 자신의 양심 속에 존재하는 죽은 혹은 죽었다고 추정되는 인물들이 다시 등장하고, 사람으로 가정할 수 있다면 하리는 자신의 이상한 점을 시간이 갈수록 인식한다. 영화에서의 인간들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다.
설명
영화에서의 인간들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다. 그러나 그도 낯선 상황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기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자신이 겪은 상황만 이해시킬 뿐이다.
다. 각각의 인물들은 그런 環境에 처했을 때의 反應(반응)을 보여주는데, 버튼은 솔라리스의 현상적 상황을 이해시키기 위해,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사람들에게 자신을 이해시키기 위해 청문회를 하지만, 사람들을 납득시키지 못한다. 버튼은 실종된 페쉬너를 찾으러 비행을 갔다가 솔라리스 바다의 특별한 현상을 목격한다. 다른 3명의 인물(-주인공, 스나우트, 사르토리우스)의 행동은 초반에는 비슷했을 것을, 공통적으로 얼굴에 난 흉터로 미루어볼 때 짐작해볼 수 있다 하지만, 이해 못하는 현상을 없애는 즉, 현실을 부정하기 위한 행동을 해도 결국 똑같은 일이 일어난다. 이러한 자세는 그냥 상황이 어떻게 되나 지켜보자는 자세이자, 일종의 자포자기의 자세로, 그런 자세로 무언가를 이해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해석하는 것은 성립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자신이 처음 접하는 상황을 이해할 준비가 되어있는 사람은 없다는 것을 여러 종류의 인간 예시를 들어 나타내며, 곰곰이 생각해보면 이 영화를 보는 관객도 마찬가지라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영화 속 상황에서 인간은 모든 상황을 이해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