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정체성` 을 읽고나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22:03
본문
Download : 독서 세미.hwp
이를 위해 한국의 음악, 미술, 건축,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성질을 찾던 저자는 ‘한글’을 한국의 정체성을 가장 확실하게 보여주는 표지로 제시한다. 현재 한국의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택한 것, 즉 현재성․대중성․주체성을 갖춘 것들이 바로 ‘한국적인 것’이라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따라서 <서편제> 보다는 <쉬리>가 더 한국적이라고 설명하는 저자는 이러한 정체성의 새로운 기준을 통해 ‘한국적인 것’의 영역과 깊이를 넓히고자 한다.
(book report)
`한국의 정체성` 을 읽고나서
제3장은 ‘정체성 판단의 기준’에 대해 설명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전체 3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 1장에서는 한국과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해 묻는다.
한국적인 것이란 무엇인가? 과연 한국적인 것이 존재하는가? 한국적인 것은 세계적인 것이 될 수 있는가? 이 책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답함으로써 한국과 한국인의 정체성에 밝히고 있따 또한 현재 우리 사회를 휩쓸고 있는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 라는 표어가 과연 效果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를 검토해보는 것도 이 책의 해결해야할문제 중 하나이다.
Download : 독서 세미.hwp( 83 )
한국 정체성 독후감 한글 역사 / <한국의 정체성> (독후감)
이 책은 이에 대해 ‘세계적’이란 말로 대표되는 ‘보편성’은 없다고 말한다. 제2장에서는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주장이 과연 옳은 것인지를 살펴본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구호는 그 자체로 아무런 의미가 없으며 현실적으로 ‘세계적인 것’은 ‘미국적인 것’이며 ‘세계화’ 보다는 ‘미국화’가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말한다.
순서
한국 정체성 독후감 한글 역사
한국 정체성 book report 한글 歷史 / <한국의 정체성>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