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 교육과 정’과 ‘평가’의 관련성 / 교육과 정 이론(理論) ‘ 교육과 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6:38
본문
Download : [교육학]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hwp
그러나 이제까지 평가가 선발이라는 중요한 기능을 함으로써 평가의 신뢰성과 객관성이 부각됨에 따라 이제까지 평가는 표준화검사와 같이 객관식(客觀式) 검사, 지필 검사가 주류였다. 이렇게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에 관한 문제를 인식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하여, 타일러의 목표(goal)중심평가 모형, 학...
교육과정 이론 -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 i. ‘교육과정’...
[교육학] ‘ 교육과 정’과 ‘평가’의 관련성 / 교육과 정 이론(理論) ‘ 교육과 정’
교육과정 이론(理論) -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 i. ‘교육과정’...
![[교육학]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1008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2/%5B%EA%B5%90%EC%9C%A1%ED%95%99%5D%20%E2%80%98%EA%B5%90%EC%9C%A1%EA%B3%BC%EC%A0%95%E2%80%99%EA%B3%BC%20%E2%80%98%ED%8F%89%EA%B0%80%E2%80%99%EC%9D%98%20%EA%B4%80%EB%A0%A8%EC%84%B1-1008_01.gif)
![[교육학]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1008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2/%5B%EA%B5%90%EC%9C%A1%ED%95%99%5D%20%E2%80%98%EA%B5%90%EC%9C%A1%EA%B3%BC%EC%A0%95%E2%80%99%EA%B3%BC%20%E2%80%98%ED%8F%89%EA%B0%80%E2%80%99%EC%9D%98%20%EA%B4%80%EB%A0%A8%EC%84%B1-1008_02_.gif)
![[교육학]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1008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2/%5B%EA%B5%90%EC%9C%A1%ED%95%99%5D%20%E2%80%98%EA%B5%90%EC%9C%A1%EA%B3%BC%EC%A0%95%E2%80%99%EA%B3%BC%20%E2%80%98%ED%8F%89%EA%B0%80%E2%80%99%EC%9D%98%20%EA%B4%80%EB%A0%A8%EC%84%B1-1008_03_.gif)
![[교육학]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1008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2/%5B%EA%B5%90%EC%9C%A1%ED%95%99%5D%20%E2%80%98%EA%B5%90%EC%9C%A1%EA%B3%BC%EC%A0%95%E2%80%99%EA%B3%BC%20%E2%80%98%ED%8F%89%EA%B0%80%E2%80%99%EC%9D%98%20%EA%B4%80%EB%A0%A8%EC%84%B1-1008_04_.gif)
![[교육학]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1008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2/%5B%EA%B5%90%EC%9C%A1%ED%95%99%5D%20%E2%80%98%EA%B5%90%EC%9C%A1%EA%B3%BC%EC%A0%95%E2%80%99%EA%B3%BC%20%E2%80%98%ED%8F%89%EA%B0%80%E2%80%99%EC%9D%98%20%EA%B4%80%EB%A0%A8%EC%84%B1-1008_05_.gif)
Download : [교육학]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hwp( 82 )
순서
설명
교육학 ‘ 교육과 정’과 ‘평가’의 관련성 / 교육과 정 이론 ‘ 교육과 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Tyler가 고안한 평가관념은 목표(goal)달성여부를 묻는 것으로서 실제로 학업성취도 평가와 그 의미를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 theory(이론) -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 i.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련성 문제 인식 우리는 ‘교육평가’를 통해서 지금 실시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program]) 의 성과 또는 問題點을 확인할 수 있다. 발표에서는 이제까지 우리가 가졌던 평가에 대한 관념을 인식하고 종래까지 고수해 온 평가관념이 최근에 오면서 바뀌어 가는 것을 인식하고 그 예로서, 수행평가의 도입을 다루기로 하였다. 따라서 Tyler가 제안하는 평가관념을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인 학업성취도 평가 관념과도 관련지어 발표에서 다루기로 하였다. 굳이 Tyler식의 교육평가를 택한 이유는 전시간까지 우리는 Tyler가 definition 하는 교육과definition 요소로서 교육목표(goal)를 진술하고 교육목표(goal)에 상응하는 학습경험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것을 배워왔기 때문일것이다 즉, 수업의 흐름에 따라가기 위해 Tyler식의 교육평가 관념을 보고서와 발표에서 다루기로 하였다. 교육과정 평가는 ‘교육과정’과 ‘평가’ 그 각각의 의미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지만, 보고서에서 중심적으로 다루고자 것은 Tyler식 definition 에 따른 평가의 관념과 모형이다. 이는 다음의 교육 계획이나 정책 수립에 중요한 reference(자료)로 활용되어 교육과정 improvement(개선)의 질을 높이는데 기한다. 즉, 평가는 교육과definition improvement(개선)을 위한 환류 정보를 수집하고 교육과definition 성과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평가’는 ‘교육과정’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