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문학 교육을 위한 새로운 문학교수법적 관념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05:29
본문
Download : 독일문학 교육을 위한 새로운 문학교수법적 개념들*.hwp
일찍이 70년대 초에 H. Schanze는 기존의 문학사 기술에 대한 시각의 변화를 요구하면서 하나의 매체에 해당하는 문학의 歷史(역사)를 다른 매체들의 歷史(역사)와 관련해서 기술해야 한다고 역설한 바 있다아 그는 “문예학자들을 위한 매체학”(Medienkunde für Literaturwissenschaftler)이란 글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매체의 歷史(역사)로서 문학사’는 기본 체계적인 양상, 즉 그때 그때의 매체적 가능성들을 소홀히 하지 않으면서도 모든 텍스트 소통의 과정, 즉 그것의 歷史(역사)성을 명백히 해줄 수 있다아 ” Vgl. Helmut Schanze: Medienkunde für Literaturwissenschaftler, München 1974, S. 81.
.
여기서 그는 매체를 분배수단을 넘어서 歷史(역사)성을 드러내는 ‘소통조직’(Kommunikationsorganisation)으로 이해하고 있다아 매체하면 우리는 보통 라디오, 신문, 텔레비전 등 대중매체를 떠올리기 십상이지만, 매체를 이처럼 확대 이해하면 말이나 문자에서부터 하이퍼텍스트에 이르기까지 많은 것들이 거기에 포함될 수 있다아
지금까지의 매체를 대략 분류해보면, 글자, 인쇄물, 책과 같은 문자매체,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비디오 등과 같은 시청각 매체, 그리고 하이퍼텍스트를 사용하는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매체 등이 있다아 이중 특히 컴퓨터와 통신수단의 발달로 인한 디지털매체의 급속한 발전은 지금까지 인류文化(culture) 를 크게 지배해왔…(To be continued )
3. 상호매체성 3. 1 상호매체성이란 무엇인가? - 매체개념의 변화와 상호매체성 우리가 문학작품을 매개로 해서 이루어지는 활... , 독일문학 교육을 위한 새로운 문학교수법적 개념들*인문사회레포트 ,
다.독일문학 교육을 위한 새로운 문학교수법적 관념들*
3. 1 상호매체성이란 무엇인가? - 매체관념의 變化와 상호매체성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우리가 문학작품을 매개로 해서 이루어지는 활...
3. 상호매체성
Download : 독일문학 교육을 위한 새로운 문학교수법적 개념들*.hwp( 60 )
순서
3. 상호매체성
3. 1 상호매체성이란 무엇인가? - 매체concept(개념)의 변화와 상호매체성
우리가 문학작품을 매개로 해서 이루어지는 활동 중에서 생산과 수용 외에 분배에 주목한다면, 매체가 무엇보다도 문학고찰의 중심에 놓이게 된다된다.
문예학이 텍스트 생산과 수용, 텍스트 선정, 그리고 학교교과서에 이르기까지 정전 형성의 과정을 추적해보면, 늘 매체적 요소들이 필연적으로 거기에 개입되어 있음이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