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성theor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03:48
본문
Download :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성이론.hwp
Marcia는 각 질문 내용에 대해 두 가지 변인, 즉 위기의 경험과 참여(또는 관여) 여부를 준거로 그들의 정체성 상태를 수준별로 분류하였다. 여기서 위기란 개인이 직업을 선택하고 이념적 신념을 확립하는 데 의문을 제기하고, 다른 대안을 찾아가는 투쟁의 시기를 말한다.
2/ 정체성 유실
정체성 유실(identity f…(drop)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성이론.hwp( 66 )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성이론 ,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성이론인문사회레포트 , 마르샤 Marcia 자아정체성이론
다. 이 상태는 人生(life)을 설계하려는 욕구가 부족하고, 人生(life)에 대한 방향감각도 없다. 여기서 위기란 개인이 직업을 선택하고 이념적 신념을 확립하는 데 의문을 제기하고, 다른 대안을 찾아가는 투쟁의 시기를 말한다.
Marcia는 각 질문 내용에 대해 두 가지 변인, 즉 위기의 경험과 참여(또는 관여) 여부를 준거로 그들의 정체성 상태를 수준별로 분류하였다. 참...
Marcia의 자아정체성理論(이론)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성理論(이론)
목차
Marcia의 자아정체성理論(이론)
I. 정체성 혼미
II. 정체성 유실
III. 정체성 유예
IV. 정체성 성취
Marcia의 자아정체성理論(이론)
Marcia는 Erikson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대한 연구를 정교화하여 자아정체성의 수준에 따라 성취지위를 네 가지 상태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정체성 혼미 상태 에 있는 adolescent(청소년)들은 확고한 방향도 잡지 못하고, 사고과정이 비조직적 충동적이며, 자존감이 낮고, 부모에 대한 존경심이 낮으며, 혼돈과 공허감에 빠져 있으며, 대인관계도 회피적이다. 그는 Erikson이 자아정체성의 형성기를 직업적, 이념적 관여가 발달하는 시기로 보고 있는 것에 근거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고 직업에 대한 가치관, 삶의 철학, 성적 태도, 종교적 정치적 신념 등에 대해 질문하였다. 그는 Erikson이 자아정체성의 형성기를 직업적, 이념적 관여가 발달하는 시기로 보고 있는 것에 근거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고 직업에 대한 가치관, 삶의 철학, 성적 태도, 종교적 정치적 신념 등에 대해 질문하였다.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성theory
%EC%9D%98%20%EC%9E%90%EC%95%84%EC%A0%95%EC%B2%B4%EC%84%B1%EC%9D%B4%EB%A1%A0_hwp_01.gif)
%EC%9D%98%20%EC%9E%90%EC%95%84%EC%A0%95%EC%B2%B4%EC%84%B1%EC%9D%B4%EB%A1%A0_hwp_02.gif)
%EC%9D%98%20%EC%9E%90%EC%95%84%EC%A0%95%EC%B2%B4%EC%84%B1%EC%9D%B4%EB%A1%A0_hwp_03.gif)
%EC%9D%98%20%EC%9E%90%EC%95%84%EC%A0%95%EC%B2%B4%EC%84%B1%EC%9D%B4%EB%A1%A0_hwp_04.gif)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성theory
마르샤,Marcia,자아정체성이론,인문사회,레포트
Marcia의 자아정체성理論(이론)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성理論(이론)
목차
Marcia의 자아정체성理論(이론)
I. 정체성 혼미
II. 정체성 유실
III. 정체성 유예
IV. 정체성 성취
Marcia의 자아정체성理論(이론)
Marcia는 Erikson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대한 연구를 정교화하여 자아정체성의 수준에 따라 성취지위를 네 가지 상태로 분류하였다.
Marcia는 위기와 참여의 정도에 따라 자아정체성 성취지위를 다음과 같이 그 수준에 따라 정체적 혼미, 정체성 유실, 정체성 유예, 정체성 성취의 네 가지로 나누었다. 참여란 직업선택, 이념적 종교적 신념에서 확고하고 동요되지 않는 의사결정을 하고 적절한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1/ 정체성 혼미
정체성 혼미(identity confusion)의 상태는 가장 낮은 성취지위로서 자신의 직업, 성역할, 삶의 目標(목표)와 가치관 등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지 않고 있고, 아무런 위기를 경험하지 않고 있을 때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