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평음, 기음, 경음 지각의 오류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21:20
본문
Download : 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평음, 기음, 경음 지각의 오류분석.hwp
실험은 (1) 가능하면 의미 있는 낱말 수준에서, (2)다양한 중성과 종성을 갖는 맥락 안에서, (3) 변별(discrimination)과 확인(identification)이라는 지각 과제課題에서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오류는 같은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듣는 경우가 많았으나 피험자 YR과 KH의 경우는 각각 한 개씩 다른 조음위치의 것을 고르기도 하였다. 실험은 (1) 가능하면 의미 있는 낱말 수준에서, (2)다양한 중성과 종성을 갖는 맥락 안에서, (3) 변별(discrimination)과 확인(identification)이라는 지각 과제에서 수행하였다. 가장 많이 보인 오류는 /ㅆ/를 /ㅅ/로, /ㅌ/를 /ㄷ/로, /ㄲ/를 /ㄱ/로, /ㅉ/를 /ㅈ/로 듣는 오류 등이었다. 앞에서 日本(일본)어의 특징을 살펴본 바와 같이 후행모음이 낮은 것은 무성파열음이 비강세어두 조건에서의 이음이다. 그리고 평음을 기음으로 듣는 오류를 보였으며 기음과 경음의 경우는 모두 평음으로 듣는 오류가 많았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마…(省略)
일본어가 모국어인 화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의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의 지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험을 계획하였다. 모국어에서 VOT를 단서로 많이 이용하는 화자들은 VOT의 차이가 큰 음소는 변별이 쉬운 반면 그 반대는 변별이 어렵다. 변별project 實驗결과에서 기음과 경음의 구분에서 가장 오류가 작았던 이유를 이러한 VOT의 特性(특성)으로 說明(설명)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實驗의 말data(자료)로 사용된 CVC구조의 음절 어두에서는 삼지적 상관속 자질에서 VOT가 가 장 중요한 단서이다(신지영, 1998). 평음과 기음은 VOT가 긴 반면 경음은 거의 0ms에 가까울 정도로 짧다. , 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평음, 기음, 경음 지각의 오류분석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기음과 평음에서 구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각적 단서는 후행모음의 높이이다.일본어가 모국어인 화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의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의 지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험을 계획하였다.
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평음, 기음, 경음 지각의 오류분석
Download : 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평음, 기음, 경음 지각의 오류분석.hwp( 75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피험자
2. 實驗재료 및 절차
Ⅲ. 결과
1. 피험자별 오류
2. 음소대조 변별오류
3. 음소대조 확인 오류
Ⅳ. 논의
1. 변별project에 대한 논의
2. 확인project에 대한 논의
3. 연구의 의의
또한 같은 조음 위치와 같은 조음 방식을 가지는 범주 내에서 경음을 평음으로 듣는 오류가 가장 빈번했다. 즉 평음은 낮고 기음과 경음은 높아진다. 따라서 피험자들은 모두 같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의 범주적 지각은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아
Ⅳ. 논의
1. 변별project에 대한 논의
日本(일본)어가 모국어인 화자들에게는 日本(일본)어에 없는 음소들의 변별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아 마찰음 /ㅅ/와 /ㅆ/는 日本(일본)어에 없는 음소대조이기 때문에 가장 어려운 것으로 說明(설명) 할 수 있을 것이다. 평음과 기음 가운데에는 기음이 가장 길어서 40-60ms 정도이다. 평음을 다른 두 음소와 구별해주는 가장 큰 특징은 후행모음이 낮아지는 것인데(Kim, 1964), 日本(일본)어 화자에게는 이것이 이음에 불과할 뿐 독립적인 음소로 지각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