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미시와 산문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21:04
본문
Download : 무의미시와 산문시.hwp
여기에 순수성을 향유할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진다. 주요작품으로 『김춘수 시집(1982)』, 『늪(1950)』, 『꽃의 소묘(1959)』, 『처용 이후(1982)』 등의 시집과 『의미와 무의미91982)』 등의 시론집이 있따
2. 김춘수의 무의미시론
‘무의미’는 기호론이나 의미론의 용어와는 다르다. 1946년 해방 1주년 기념 시화집 『날개』에 시 「애가(哀歌)」를 발표하여 작품활동을 처음 하였고 대구에서 발행된 동인지 『죽순(竹筍)』에 참가하였다. 작품 속의 논리적 모순이 있는 문장이 산재하기 때문에 무의미하다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이미지와 관념을 무화시킴을 의미한다. 해방 전후의 산문시
라. 자유의 산문시
8. 이야기시, 서사시
9. 맺으면서
무의미시
- 김춘수를 중심으로 본 무의미시의 세계
1. 김춘수의 생애
김춘수는 1922년 경상남도 충무에서 태어나 경기중학교를 마치고 니혼 대학(日本大學) 예술과를 중퇴하였다. 작가는 ‘무의미의 시’를 ‘허무의 아들’이라고 말한다. 어휘나 문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편의 처음 품을 의미한다.






무의미시와 산문시
1. 김춘수의 생애
2. 김춘수의 무의미시론
3. 김춘수의 시세계
4. 산문시의 槪念
5. 산문시의 장르적 characteristic(특성)
(1) 시 정신과 산문정신
(2) 형태와 리듬, 표현방법, 기술태도
6. 산문시의 형성
7. 산문시의 전개
가. 1920년대의 산문시
나. 1930년대의 산문시
다. 시의 성실성은 현실에서 허무를 발견하고 언젠가는 현실을 초극…(省略)
순서
설명
Download : 무의미시와 산문시.hwp( 95 )
,인문사회,레포트
무의미시와산문시
무의미시와 산문시무의미시와산문시 , 무의미시와 산문시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무의미시와 산문시
다. 경북대학교 교수와 예술원회원 · 한국시인협회장을 지냈다. 초기에는 릴케의 influence을 받은 시를 썼으나 50년 이후부터는 이른바 무의미의 시를 쓰기 처음 했다. 초기에는 48년 시집 『구름과 장미』로 등단하여 『사상계』, 『현대문학』 등에 작품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