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한반도 전쟁위기와 미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3 18:20
본문
Download : [인문] 한반도 전쟁위기와 미국.hwp
, [인문] 한반도 전쟁위기와 미국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한반도 전쟁위기와 미국
다. 걸프전쟁 직후 기고만장한 미국은 당시의 파월 합참의장의 “이제 다음 index는 김일성과 카스트로이다”라는 말처럼 120일전투시나리오를 등으로 전쟁위협을 자행했는데 그 이후 지금까지 전쟁획책을 지속하고 있다아 이는 세계적 수준에서 탈냉전이 되었다고 하지만 이 한반도에서는 속냉전이 계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죽고 사는 문제’인 생명권이 멀리는 6·25확대전쟁 당시 맥아더와 같은 전쟁미치광이가 무려 26개의 원자탄을 떨어뜨리려고 발버둥쳤던 시점에서부터 외세인 미국이 의해 좌지우지하는 기막힌 현실 속에 우리 모두는 살아 왔고 또 살고 있다아 1960년대의 미국 간첩선 푸애볼로호 포획사건, 미국 첩보기 EC121기 격침사건, 판문점 미루나무 절단사건에서부터 1994년 6월 영변핵위기로 인한 전쟁일보 직전까지의 아슬아슬한 순간, 금창리핵위기 조장사건, 또 최근의 악의 축 전쟁위협 등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죽음의 그림자를 바라보면서 살아야 했다. 이에 따라 동서냉전에 의해 분단과 대결의 역사(歷史)를 강요당했던 이 곳 한반도에서도 탈냉전기인 90년대 이후에는 응당 탈냉전의 역사(歷史)구도가 펼쳐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이후의 세계사는 동구사회주의체제의 몰락이라는 대전환을 맞았다.
그러나 탈냉전의 시점에서도 한반도 속의 미국은 오히려 더 사악한 냉전전사다운 모습을 보여 주었다.
뭐니뭐니 해도 인간의 기본권 가운데 기본권은 죽고 사는 문제인 생명권이다.
Download : [인문] 한반도 전쟁위기와 미국.hwp( 60 )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그런데도 대부분의 남한사람은 자기의 죽고 사는 문제가 이렇게 경각에 달려 있다는 사실을 전혀 모른 채 ‘마음 편하게’ 살아가고 있다아 왜냐하면 우리의 죽고 사는 문제의 결정권이 거의 미국에 달려 있고 이에 관한 정보가 우리들에게는 철두철미하게 차단되어 실제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전혀…(To be continued )
[인문] 한반도 전쟁위기와 미국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 한반도 전쟁위기와 미국
[인문] 한반도 전쟁위기와 미국
설명
인문,한반도,전쟁위기와,미국,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인문]%20한반도%20전쟁위기와%20미국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5%9C%EB%B0%98%EB%8F%84%20%EC%A0%84%EC%9F%81%EC%9C%84%EA%B8%B0%EC%99%80%20%EB%AF%B8%EA%B5%AD_hwp_01.gif)
한반도 전쟁위기와 미국
한반도 속 미국은 냉전기의 큰 민족사적 계기였던 해방공간, 5.18항쟁, 6월항쟁 등에서 어김없이 냉전전사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특히 한반도 냉전의 주범이었던 미국의 행위가 탈냉전으로 나아가기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