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성 사구체질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3-24 20:25
본문
Download : 이차성 사구체질환.hwp
그러나 말기신질환에 있는 당뇨병환자의 대부분은 NIDDM이다.이차성 사구체질환
I. 당뇨병성 신(병)증(DIABETIC NEPHROPATHY)
1. 발생빈도와 유병율
1) 당뇨병성 신병증은 서구의 경우 말기신질환(end-stage renal disease, ESRD)의 요인 중 수위이며, 특히 미국에서는 약 50%정도를 차지한다.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이차성사구체질환Seco , 이차성 사구체질환의약보건레포트 ,
다.
,의약보건,레포트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설명
Download : 이차성 사구체질환.hwp( 64 )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2) 인슐린의존성당뇨병(IDDM, type 1)의 30-35%, 인슐린비의존성당뇨병(NIDDM, type 2)의 20%(15-60%)에서 당뇨병성 신병증이 발생된다된다. 이는 당뇨병환자의 90%를 NIDDM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3)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당뇨병성 신병증이 있는 IDDM환자의 90%에서, NIDDM환자의 60%에서 발견된다된다. 또한 북미에서 신대체요법(renal replacement therapy, RRT)을 받는 환자의 30-35%가 당뇨병성 신병증이다.
4) 당뇨병에 의한 신합병증으로는 당뇨병성 사구체경화증, 동맥 신경화, 유두괴사, 요로감염, 방사선조영제 신독성, hyporeninemic hypoaldosteronism(RTA IV), 자율신경병증, 진행성 요독증에서 인슐린 요구량의 alteration(변화) 등이 있다아
2. 임상 소견과 검사 소견
일반적으로 인슐린의존성당뇨병에 의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kip)1) 전조성 또는 증상발현전 시기(presymptomatic 또는 preclinical phase)
(1) 과여과 시기
① 사구체고혈압과 과여과(사구체여과율 20-40% 증가)
② 신충혈과 확대(사구체 비대)
③ 신혈장량의 증가
2) 증상성 또는 임상적시기(symptomatic 또는 clinical phase)
(1) 단백뇨 시기 또는 중간기
① 현증(overt) 또는 대량 단백뇨(>500-550mg/d)
② 점증적인 단백뇨의 증가와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NS)의 출현
③ 점차적인 사구체여과율의 감소(1mL/month)
④ 고혈압과 부종의 발생
⑤ 세뇨관간질성 질환의 출현: 고칼륨혈증과 type IV RTA
이차성사구체질환Seco






그럼 reference(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