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방언 종결어미의 특징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31 11:40
본문
Download : 경북방언 종결어미의 특징에 관한 고찰.hwp
경북 방언 중에서 우리가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지역어의 종결어미 형태 목록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는 소창진평(1924)를 비롯하여 최학근(1964), 김형규(1982),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9), 이상규(1991), 김태엽(1996) 등을 대표적인 것으로 꼽을 수 있다
소창진평(1924)에서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을 포괄하여 연구한 내용을 <남부 조선의 방언>이라는 보고서로 남겼는데, 거기에는 각 지역의 종결어미와 선어말어미가 부분적으로 조사·보고되어 있다 소창진평(1924)는 모든 문법형태를 정밀하게 조사하지 못한 면이 있으나, 그 당시 남부 지역의 언어 모습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닌다.






레포트/인문사회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은 아래 (1)과 같다. 그리고 최학근(1964)와 김형규(1982)는 전국을 조사 대상으로 한 보고인데, 전자는 종결어미만을 집중적으로 조사한 내용이고 후자는 종결어미와 함께 다른 문법형태도 조사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설명
ㄴ. 서술어미의 형태를 이루는 어미구조체에 관여하는 문장종결소 ‘-더’와 ‘-다’가 상보적으로 분포한다. ㄷ. 의문어미의 형태 중에서 상보적으로 분포하는 이형태가 많이 존재한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9)에서는 음운, 어휘, 문법을 모두 조사하였으며, 거기에는 경북 방언으로 사용되는 종결어미의 형태 목록을 군 단위별로 구별하여 수록하였다. ㄴ. 서술어미의 형태를 이루는 어미구조체에 관여하는 문장종결소 ‘-더’와 ‘-다’가 상보적으로 분포한다.
다. 이상규(1991)에서는 경북 방언의 청자높임법을 기술하기 위한 목적으로 종결어미의 형…(skip)
Download : 경북방언 종결어미의 특징에 관한 고찰.hwp( 33 )
경북방언종결어미의특징에관한고찰
(1) ㄱ. 청자를 아주 높여 예우하는 이 방언의 서술어미 중에는 서술어의 품사에 따라 상보적으로 분포하는 형태가 존재한다.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경북 방언의 종결어미 중에서 서술어미와 의문어미의 특징적인 문법 현상을 살피는 것이 이 글의 주된 목적이다.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은 아래 (1)과 같다. (1) ㄱ. 청자를 아주 높여 예우하는 이 방언의 서술어미 중에는 서술어의 품사에 따라 상보적으로 분포하는 형태가 존재한다.
ㄹ. 이 방언에는 중가적인 형태 구성에 따라 청자높임법의 등급이 비례하는 의문어미가 존재한다.경북방언종결어미의특징에관한고찰 , 경북방언 종결어미의 특징에 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경북 방언의 종결어미 중에서 서술어미와 의문어미의 특징적인 문법 현상을 살피는 것이 이 글의 주된 목적이다.
경북방언 종결어미의 특징에 관한 고찰
ㄷ. 의문어미의 형태 중에서 상보적으로 분포하는 이형태가 많이 존재한다. ㄹ. 이 방언에는 중가적인 형태 구성에 따라 청자높임법의 등급이 비례하는 의문어미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