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언론으로서 온라인(online) 저널리즘의 가능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17 00:54
본문
Download : 대안언론으로서 온라인 저널리즘의 가능성.hwp
대체로 기자의 이메일을 공개함으로써 직접적으로 기자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자보》의 경우 기자의 홈페이지 주소까지 제공하고 있어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아 그러나 기자이메일 제공이 곧바로 기자와 독자간의 상호작용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외국의 事例이긴 하지만 Schultz(2000)에 따르면 독자로부터 이메일은 기자에 따라 편차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으며, 기자들이 독자와의 이메일을 가치있는 것으로 평가함에도 불구하고 독자와의 이메일은 주로 단발적으로 응답하는 수준에 그쳤으며, 독자의 경우 기자로부터 거의 피드백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가 활발하지는 않지만 취재수첩은 취재 뒷이야기 등 기자들이 발로 뛰며 느낀 점을 네티즌들과 나누는 공간으로 기자와 독자가 수평적으로 만나는 소통의 장이라고 할 수 있…(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대안언론으로서 온라인 저널리즘의 가능성.hwp( 74 )
대안언론으로서 온라인(online) 저널리즘의 가능성
대안언론으로서 온라인(online) 저널리즘의 가능성
대안언론으로서온라인(online)
대안언론으로서 온라인 저널리즘의 가능성대안언론으로서온라인 , 대안언론으로서 온라인 저널리즘의 가능성인문사회레포트 ,
다.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둘째, 기자와 독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제, 즉 기자와 독자가 수평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기제는 대안언론마다 상이하게 나타났다.
단발적이거나 피드백이 없는 기자이메일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方案으로 《디지털말》의 취재수첩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