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척사업과 갯벌보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3 17:34
본문
Download : 간척사업과.hwp
1)대규모 간척의 무모함
순서
들어가며
2)무엇을 위한 간척인가
간척사업과 갯벌보존 갯벌은 간척자원 갯벌은 간척자원
Download : 간척사업과.hwp( 72 )
5)삶의파괴
설명
잠시 결론을 내리기 전에...
다.
2)무엇을 위한 간척인가





대규모의 간척은 아니라도 돌아올 수 없는 무지한 사업이다.
결론
더구나 앞으로 간석지의 생태적, 경제적 가치가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태에서 다시 되돌릴 수 없는 대규모의 간척을 벌인다는 것은 국민의 자원에 대한 선택기회를 박탈해 버린다는데서 권력 독점이라고 할 수 있다아
간척사업과 갯벌보존 갯벌은 간척자원 갯벌은 간척자원 / (간척사업과 갯벌보존)
3)갯벌은 간척자원(?)
간척은 惡이 아닐것이다.
간척사업과 갯벌보존 갯벌은 간척자원 갯벌은 간척자원 / (간척사업과 갯벌보존)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우리나라의 대규모 간척지는 1차적으로 농경지로 활용하면서 이와 병행하여 산업 및 도시용지 수요에도 대처하도록 하고 있다아 문제는 대규모 간척지를 조성할 때 어떤 용도로 사용하겠다는 뚜렷한 이유없이 일단 만들어 놓으면 다 쓸 데가 생긴다는 식의 발상이다. 또한 소규모의 간척이 이루어졌을 때는 간척론자들이 주장하는 간석지 재생성론이 가능하지만 대규모 간척후에는 불가능하게 된다된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과 연구 수준으로 새만금과 같은 대규모의 간척사업이 이루어진 후 구체적으로 어떤 결과가 초래될 지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간척지는 농지전용일 때보다 산업 및 도시용지 일때 환경오염이 더 심각해진다. 긴박한 이유없이 소중한 간석지를 매립하는 어리석은 행위를 일삼아 온 것이다.
간척사업과 갯벌보존
Reference List
4)환경파괴
결국 미래에 닥칠 재앙을 전혀 예측하지 못하고 하면된다는 식으로 밀어부쳐지는 대규모 간척은 위험 천만이 아닐 수 없다.
1)대규모 간척의 무모함
무엇이 문제인가
인간이 자연에 어떤 조그마한 인위적 변화를 가하더라도 그것은 우리가 상상하지 못할 엄청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아 간척이 소규모로 이루어질 때의 자연환경의 변화의 예측은 그래도 어느정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