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port-우리 삶의 철학[아이반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9 20:32
본문
Download : 독후감-우리 삶의 철학[아이반호].hwp
주희는 이기적인 욕망에 가려서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완전한 도덕심을 회복시킬 것을 강조하며, 왕양명은 독서와 history를 통한 진리의 발견이 아니라 양지, 순수한 앎을 존중할 것을 주장한다.
맹자는 자아 수양의 과제(problem)를 하늘이 부여한 사람의 본성을 계발하는 계기와 연결하였다. 맹자는 이러한 미성숙한 도덕감인 싹의 존재를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논증을 하였다. 또한 사고 test(실험) 을 통해 도덕적 싹의 존재를 옹호한다. 맹자는 미성숙한 도덕감을 싹이라는 은유를 통해서 말하고자 하였는데 식물의 싹과 같이 사람의 도덕의식은 실재 존재하고 관찰할 수 있다고 믿었다. 맹자는 사람의 참다운 본성에 따라서 자기를 계발하는 것은 하늘이 사람의 마음에 새겨 넣은 숭고한 설계를 완성하는 것이라 믿었다.
Download : 독후감-우리 삶의 철학[아이반호].hwp( 85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book report-우리 삶의 철학[아이반호]
![독후감-우리 삶의 철학[아이반호]-355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4/%EB%8F%85%ED%9B%84%EA%B0%90-%EC%9A%B0%EB%A6%AC%20%EC%82%B6%EC%9D%98%20%EC%B2%A0%ED%95%99%5B%EC%95%84%EC%9D%B4%EB%B0%98%ED%98%B8%5D-3555_01.gif)
![독후감-우리 삶의 철학[아이반호]-355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4/%EB%8F%85%ED%9B%84%EA%B0%90-%EC%9A%B0%EB%A6%AC%20%EC%82%B6%EC%9D%98%20%EC%B2%A0%ED%95%99%5B%EC%95%84%EC%9D%B4%EB%B0%98%ED%98%B8%5D-3555_02_.gif)
![독후감-우리 삶의 철학[아이반호]-355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4/%EB%8F%85%ED%9B%84%EA%B0%90-%EC%9A%B0%EB%A6%AC%20%EC%82%B6%EC%9D%98%20%EC%B2%A0%ED%95%99%5B%EC%95%84%EC%9D%B4%EB%B0%98%ED%98%B8%5D-3555_03_.gif)


맹자는 우리가 선천적으로 미성숙한 도덕감(사단)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는데, 이는 곧 자선을 뜻하는 측은지심, 정의(定義)를 뜻하는 수오지심, 염치를 뜻하는 공경지심, 옳고 그름을 뜻하는 시비지심이다. 주희는 이기적인 욕망에 가려서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완전한 도덕심을 회복시킬 것을 강조하며, 왕양명은 독서와 역사를 통한 진리의 발견이 아니라 양지, 순수한 앎을 존중할 것을 주장한다. 그 중 대표적인 논증이 무의식적 누설 행위에 의한 논증과 사고 test(실험) 에 근거한 논증을 들 수 있따
아이반호는 일곱 사상가의 자아 수양 방법론에 대해 공자는 습득형, 맹자는 계발형, 순자는 재조형, 주희는 회복형, 왕양명은 발견형, 안원은 실습형, 대진은 명지형이라 지칭하였다. 사고 test(실험) 이란 가설적 각본에 의지해 주어진 조건 아래에서 무엇이 일어날 것인지 상상해 보는 것을 말한다. 맹자는 사람이 본성적으로 선으로 나아가는 성향이 있다고 믿었고 완전한 도덕적 존재로 발전하고 또 숭고한 유학의 세계관을 완수할 있다고 하였다. 공자는 우리에게 예를 배워서 내 것으로 만드는 습득을 강조하며, 맹자는 나에게 깃든 미성숙한 도덕감을 키워갈 것을 역설한다. 공자는 우리에게 예를 배워서 내 것으로 만드는 습득을 강조하며, 맹자는 나에게 깃든 미성숙한 도덕감을 키워갈 것을 역설한다. 자연적인 것을 따르는 것이 곧 하늘에 복종하는 것이고, 자신을 계발하는 것이 곧 하늘을 섬기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맹자는 어떤 사람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도덕적 방식으로 행동한 실례를 지적하며, 그러한 행동을 그럴듯하게 說明(설명) 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무제의 개인이 어떤 타고난 이타적 욕구에 이끌렸기 때문이라고 說明(설명) 한다.
순서
다. 맹자의 도덕적 사고 test(실험) 은 매우 일상적인 경험을 묘사함으로써 우리가 미성숙한 도덕감을 타고났다는 사실을 납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설명
아이반호는 일곱 사상가의 자아 수양 방법론에 대해 공자는 습득형, 맹자는 계발형, 순자는 재조형, 주희는 회복형, 왕양명은 발견형, 안원은 실습형, 대진은 명지형이라 지칭하였다. 순자는 심사숙고를 통해서 나의 자연적 성향을 이성적인 것으로 바꿀 것을 권한다.
독후감,우리 삶의 철학,아이반호
맹자는 도덕 교육을 설파하면서 그러한 누설 행위에 의존하였다. 순자는 심사숙고를 통해서 나의 자연적 성향을 이성적인 것으로 바꿀 것을 권한다. 그는 공자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그대로 유지하긴 했지만, 동시에 그것을 인간 본성에 관한 理論 위에서 발전시켜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