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조선시대 잡학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8 12:00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 잡학교육.hwp
잡과 교육은 조선이 유학을 숭상하고 문치 주위의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유학 교육에 비하면 소홀한 면이 있었으나, 실제적인 국가 체제를 운영하는 데는 중요한 분야였다.
잡과(雜科) 교육은 유학(儒學) 교육을 제외한 외국어 교육, 의학 교육, 무과 교육, 음악 교육, 미술 교육, 천문학 교육 등을 포함한 교육을 의미한다. 그리고 성종 6년(987)에 국자감에 유학을 중심으로 무학(武學), 의학(醫學), 음양학(陰陽學), 율학(律學), 서학(書學), 산학(算學)을 두어 7학(七學)을 개설하였다. 학식에 국자감은 국자학(國子學), 태학(太學), 사문학(四門學)의 3학은 유학을 교육하고, 율학, 서학, 산학의 3학을 설치하여 법률, 글자학, 회계학을 교육하도록 하였다. 잡과 교육을 실시한 것은 삼국시대 이전부터일 것으로 생각되어진다.순서
7) 유학 교육(儒學敎育)
2) 의과 교육(醫科敎育)





[교육학] 조선시대 잡학교육
나) 잡과 교육의 형태
10) 화학 교육(畵學敎育)
설명
8) 이학 교육(吏學敎育)
1) 역과교육(譯科敎育 : 外國語敎育)
조선시대 잡학에 대한 레포트입니다
조선시대 잡학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Download : 조선시대 잡학교육.hwp( 49 )
9) 음악 교육(音樂敎育)
가) 잡과 교육의 형성과 발달
가) 잡과 교육의 형성과 발달
고려시대에는 학교에서 기술 교육을 실시하였다. 태조 13년(930)에 서경에 세운 학교에는 의·복(醫·卜)의 두 과정을 두었다.
5) 산학 교육(算學敎育)
3) 무과 교육(武科敎育)
bibliography
4) 율학 교육(律學敎育)
11) 음양학 교육(陰陽學敎育 : 天文學)
조선시대,잡학,교육,잡과,조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6) 자학 교육(字學敎育)
다. 잡과 교육은 국가 경영에 필수 불가결한 실용 기술직 관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국가에서 제도적으로 정비하여 실시하였다. 인종 때에 식목도감(式目都監)에서 제정한 학식(學式)에서도 기술 교육을 국자감의 별도의 학으로 독립하여 교육하도록 하였다. 기록으로 보면 삼국시대에는 이미 잡과 계통의 기술 교육은 기관을 통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잡과 교육은 행정·기술의 실무를 맡는 하급 관리를 양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