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이후의 대안적 사상 모색 - 남북한 체제 비교와 민족주의 연구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0:09
본문
Download : 통일_이후의_대안적_.hwp
따라서 한국에 정착한 민주주의의 변질된 부분을 연구해야 할것이며, 아울러 북한의 체제유지 사상인 주체사상과 그 변천에 대한 연구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민족주의는 동질감 회복의 차원에서 화합, 통합, 발전의지로 표출되기 때문일것이다 歷史선 상에서 볼 때, 국제정치의 단위인 민족국가의 확립은 곧 국가 및 집단의 발전이라는 결과로 이어진 경우가 많았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이달순,「한국정치사의 재발견」, 수원대학출판부, 1995
송두율,「통일의 논리를 찾아서」, 한겨레신문사, 1995
한국정치변동과 민주주의
3. 북한의 정치사상: 유일지배체제와 주체사상
통일 이후의 대안적 사상 모색 - 남북한 체제 비교와 민족주의 연구 -
1. 序論 : 연구해결해야할문제로서의 민족주의
이 논의는 통일 후 새로운 사회의 基底에 깔리는 정치의식의 형성에 대한 것이다. 다가올 통일을 대비하기 위해서 사회의 총체적 의식이 표면적 민주주의의 우월성으로 작용하는 남한과 체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새로운 정당성을 창출하려고 노력하는 북한의 현재의 상황을 볼 때 새로운 통일시대의 정치의식 형성에 대한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이후 논의과정에서 언급하는 통일시대의 정치의식은 민주주의에 기반을 두는 민족주의 형태의 사상이 될 것이다.
박형신,「정치위기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1995
강두호 외 옮김, 「현대이데올로기」, 안소니 크레스피그니 外 엮음, 인간사랑, 1991
순서
김학준,「북한 50년사」, 동아출판사, 1995
이달순,「독립운동의 정치사적 연구」, 수원대학출판부, 1991
4. 민족주의의 일반theory
5. 結論: 통일시대의 대안적 민족주의
민족주의 권위주의 통일시대 주체사상 유일지배체제
설명
정용석,「분단국 통일과 남북통일」, 나남, 1991
Download : 통일_이후의_대안적_.hwp( 59 )





2. 本論 : 한국의 권위주의와 민주주의의 이행․공고화 과정
앤더슨,「민족주의 기원과 전파」, 윤형숙 옮김, 나남, 1991
민족주의 권위주의 통일시대 주체사상 유일지배체제 / 임현진, 송호근 공편, 「전환의 정치, 전환의 한국사회」, 사회비평사, 1995 한국정치변동과 민주주의 이달순,「독립운동의 정치사적 연구」, 수원대학출판부, 1991 이달순,「한국정치사의 재발견」, 수원대학출판부, 1995 박형신,「정치위기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1995 김학준,「북한 50년사」, 동아출판사, 1995 강두호 외 옮김, 「현대이데올로기」, 안소니 크레스피그니 外 엮음, 인간사랑, 1991 앤더슨,「민족주의 기원과 전파」, 윤형숙 옮김, 나남, 1991 정용석,「분단국 통일과 남북통일」, 나남, 1991 송두율,「통일의 논리를 찾아서」, 한겨레신문사, 1995 (정치학)
민족주의 권위주의 통일시대 주체사상 유일지배체제 / 임현진, 송호근 공편, 「전환의 정치, 전환의 한국사회」, 사회비평사, 1995
1. 序論 : 연구해결해야할문제로서의 민족주의
(정치학)
한국사회에서 절대적 신념으로 작용하는 민주주의는 그동안 집권의 논리로 변질되어 대북우월성의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이런 현실은 통일 이후의 정치의식 형성과definition 차원이나 혹은 시민사회 형성 차원 등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통일과정과 그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의 공고화 과정에 대한 관심을 고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