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국가, 국가이익: 최근 한국의 반미와 미국의 반한 무드와 관련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1 08:33
본문
Download : 민족, 국가, 국가이익 최근 한국의 반미와 미국의 반한 무드와 관련하여.hwp
그러나 우리가 강조하는 ‘혈연’은 민족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인중 하나일 뿐입니다. 그래서 남한에 사는 4500만 북한에 사는 2200만 그리고 해외에 사는 수백만 동포를 합쳐 7,000만 한민족이라고 말합니다. 정치 사상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민족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역사(歷史), 文化(culture) , 사상, 종교, 생활양식, 언어, 혈연의 공통성 등 여러 가지 변수를 제시합니다. 그러나 민족이란 단어는 정이하기가 대단히 어렵습니다. 즉 피를 함께 나눈 동포를 민족이라고 말합니다. 만약 민족주의를 동족의 개념(槪念)으로 정이한다면 압도적으로 다수를 차지하는 이들 다 인종 국가에는 민족주의가 존재할 수 없다는 황당무계한 結論(결론)이 나오게 됩니다. 나는 프랑스인, 나는 China인, 나는 미국인, 나는 이태리인 이라는 민족감정을 혈연만으로 說明(설명) 할 수는 없습니다. 세계의 인종 중 한국인과 일본인은 대표적으로 가깝습니다만 한일 양국의 민족주의는 상대방에 대해 강력한 배타적 감정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또한 혈연을 민족의 본질적 요인으로 삼을 경우 어느 정도까지가 같은 민족이며 혹은 어느 선에서 다른 민족으로 간주해야 하느냐의 기준도 애매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민족을 ‘동족’ 혹은 ‘동포’란 말과 동일시합니다. 민족주의란 결국 ‘우리는 하나라는 감정’(emotion that make us one), ‘우리는 한 집단에 속한다는 느낌’(feeling of belonging)입니다.
2차 대전 당시 가장 많은 무공훈장…(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세계화와 민족주의, 민족의 개념민족[1] , 민족, 국가, 국가이익: 최근 한국의 반미와 미국의 반한 무드와 관련하여인문사회레포트 ,
다. 이념과 행동이 엄청나게 달라도 피가 같으니 우리 민족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한국의 민족주의입니다.민족, 국가, 국가이익: 최근 한국의 반미와 미국의 반한 무드와 관련하여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민족, 국가, 국가이익 최근 한국의 반미와 미국의 반한 무드와 관련하여.hwp( 16 )
순서
민족[1]
세계화와 민족주의, 민족의 관념
민족의 개념(槪念)
민족이란 용어는 언제 들어도 가슴 뭉클한 단어입니다. 미국, China, 러시아 등 지구상에 현존하는 대부분의 국가는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놀라운 일일지 모르나 혈연은 민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오히려 중요성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북한도 한국 민족주의에 편승하는 정책을 펴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