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조사 보고서 - ‘카투사(KATUSA)’의 세계로 ...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7 02:27
본문
Download : 현지 조사 보고서 - ‘카투사(KATUSA)’의 세계로 -.hwp
katusa2002 , 현지 조사 보고서 - ‘카투사(KATUSA)’의 세계로 ... -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1. 서 설 : 조사 대상 집단 설정 배경
2. 카투사에 대한 introduce
3. 2년간의 참여 watch을 토대로...
1) 카투사들의 근무 및 일과
2) 카투사들의 여가 및 취미 활동
3) 카투사 및 미군들과의 관계
4. 현지 방문 조사(4/23 - 4/25)를 토대로...
1) 카투사들과의 대화
2) 카투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5. 결 - Epilogue
필자가 선정한 집단이 `군대`, 즉 대한민국의 남성이라면 누구든지 경험할 수 있다는 이유로, 즉 연구 집단의 특수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에는, 카투사들이 60만 대한민국 장병들 중의 채 1%도 되지 않는 특수 집단이라는 점과 카투사 집단의 생활 방식 및 여타 文化(문화)가 다른 일반 군인들과의 그것과는 너무나도 상이하다는 점을 반론의 근거로 들고자 한다. 하지만 설령 Going Native가 된다 할지라도 그것으로 인해 현지 조사라는 우리의 중대 goal(목표) 에 크게 위배된다는 비판은 편협한 논리에 불과하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카투사 집단이 복무하고 있는 부대가 한국의 전 지역에 걸쳐 있는 관계로, 현지 조사의 ‘용이성’의 측면에서 필자가 복무하였던 용산 카투사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필자의 개인적 경험을 토대로 작성하였기에 현지 조사라는 이번 보고서의 목적에 위배된다는 비판에는 필자의 군복무 경험이 현지 조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방법이라 할 수 있는 `참여 watch`이었다고 파악할 수 있다는 점과 그 이후에도 `비(非) 참여watch`이라든지 집단 구성원들에 대한 formula(공식)적 및 비formula(공식)적 인터뷰를 통해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는 것을 알려 두는 바이다.
이번 보고서는 필자의 참여 watch에서 얻은 정보들을 토대로 카투사들의 생활 방식 및 文化(문화)의 양상, 그들 집단 속에서의 관계, 특히 카투사와 함께 군복무를 하고 있는 주한 미군들과의 관계에 대상으로하여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후의 몇 index에 걸친 현지 방문 조사와 카투사들을 대상으로 설문한 내용들을 토대로 그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이 보고서에 그대로 담고자 노력하였다.
%E2%80%99%EC%9D%98%20%EC%84%B8%EA%B3%84%EB%A1%9C%20-_hwp_01.gif)
%E2%80%99%EC%9D%98%20%EC%84%B8%EA%B3%84%EB%A1%9C%20-_hwp_02.gif)
%E2%80%99%EC%9D%98%20%EC%84%B8%EA%B3%84%EB%A1%9C%20-_hwp_03.gif)
%E2%80%99%EC%9D%98%20%EC%84%B8%EA%B3%84%EB%A1%9C%20-_hwp_04.gif)
%E2%80%99%EC%9D%98%20%EC%84%B8%EA%B3%84%EB%A1%9C%20-_hwp_05.gif)
%E2%80%99%EC%9D%98%20%EC%84%B8%EA%B3%84%EB%A1%9C%20-_hwp_06.gif)
카투사에 대한 紹介(소개)와 현지 조사를 통한 카투사들에 대한 설명(explanation)입니다.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현지 조사 보고서 - ‘카투사(KATUSA)’의 세계로 -.hwp( 35 )
현지 조사 보고서 - ‘카투사(KATUSA)’의 세계로 ... -
,인문사회,레포트
katusa2002
카투사에 대한 소개와 현지 조사를 통한 카투사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하지만 민속지(ethnography)라는 것이 원래 인류학자라는 개인을 필연적으로 드러내는 과정으로서의 체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본인의 주관성 역시 상당 부분 개입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물론 현지 조사가 Going Native가 아니라 Just Live with Native라는 대명제를 가지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省略)
다.